24절기에 관하여 (24절기의 유래, 구성, 역사 등)
24절기란?
태양의 움직임(황도)에 따라 1년을 24개로 나누어 정한 날들
황도(黃道, ecliptic):
지구에서 보기에 태양이 하늘을 1년에 걸쳐 이동하는 경로. 황도좌표계의 기준
24절기의 유래 (역사)
24절기는 중국에서 만든 계절표로 알려져 있다.
중국인들은 태평성대를 의미하는 요순시대에 요 황제가 24절기를 만들었다고 믿는다.
하지만 실제로는 주나라 때 생겼다는 설이 더 유력하다.
24절기는 태양의 운행주기에 맞춰 날씨 같은 자연변화를 나타낸다. 각 절기의 명칭은 황하 유역의 기상과 동식물의 변화를 연구했던 주나라 사람들이 지었다는 것이다.
중국은 우리나라보다 봄이 좀더 빠르고 가을은 늦어 24절기가 우리나라 기후와 딱 들어맞진 않는다.
절기의 개념은 전세계 공통이나 24개라는 갯수와 명칭은 중국에서 고안되었다.
24절기의 구성
[봄]
입춘 (2월 4일): 봄의 시작
우수 (2월 19일): 눈이 녹기 시작하는 날
경칩 (3월 5일):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날
춘분 (3월 20일): 낮의 길이가 밤보다 길어지기 시작하는 날
청명 (4월 5일): 봄의 날씨가 가장 좋은 날
곡우(4월 20일): 봄비가 내리는 날
[여름]
입하 (5월 5일): 여름의 시작
소만 (5월 21일): 볕이 잘 드는 날
망종 (6월 6일): 곡식의 씨앗을 뿌리는 날
하지 (6월 21일): 1년 중 낮이 가장 긴 날
소서 (7월 7일): 본격적으로 더위가 시작되는 날
대서 (7월 22일): 1년 중 가장 더운 날
[가을]
입추 (8월 7일): 가을의 시작
처서 (8월 23일): 가을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날
백로 (9월 7일):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날
추분 (9월 22일): 밤의 길이가 낮의 길이보다 길어지기 시작하는 날
한로 (10월 8일): 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날
상강 (10월 23일):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날
[겨울]
입동 (11월 7일): 겨울의 시작
소설 (11월 22일): 눈이 내리기 시작하는 날
대설 (12월 7일): 1년 중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날
동지 (12월 22일): 1년 중 낮이 가장 짧은 날
소한 (1월 5일): 1년 중 가장 추운 날
대한 (1월 20일): 1년 중 큰 추위
24절기를 쓰는 나라
중국 주(周)나라 시기 화북지방에서 태양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해를 24기로 나눈 24절기는
우리나라에는 고려 충렬왕 시기에 도입돼 이후부터 농사를 짓는데 널리 사용됐고 일본, 베트남에서도 쓰이고 있다.
24절기에 대한 오해
-24절기는 음력이 아닌 양력 날짜
-절기는 날씨와 계절(봄, 여름, 가을, 겨울 등)을 구분하는 절대적 기준이 아님: 날씨와 계절은 기온 및 강수량 변화 등 여러 가지 환경에 따라 정의하는 것이며, 각 절기에 맞는 날씨과 계절에 따라 이름을 붙인 것일 뿐, 항상 절기에 맞춰 날씨와 계절이 변하는 것은 아님
- 삼복 (초복, 중복, 말복)은 24절기로 착각하기 쉬운 날이지만 이 날은 잡절에 속하며 24절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절기의 공휴일 여부
-한국에서는 24절기라고 공휴일이 되는 일은 없지만 일본과 중화권(중국, 대만 등)에서는 특정 날짜를 공휴일로 삼기도 한다.
-일본은 춘분과 추분, 중화권은 청명을 공휴일로 삼는다.
-이란은 춘분이 1월 1일이며 해당일이 공휴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