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망고의 일상/일상생활정보
주식 관련 영단어 정리 (상승장은 왜 Bull Market일까?)
Gaemimango
2024. 11. 21. 11:53
반응형
기본 용어 (General Terms)
Stock | 주식 |
Bond | 채권 |
Securities | 증권 |
Equity | 자본, 주식 |
Shares | 주식, 지분 |
Dividend | 배당금 |
Market Capitalization (Market Cap) | 시가총액 |
IPO (Initial Public Offering) | 기업공개, 신규 상장 |
Index | 지수 |
Portfolio | 투자 포트폴리오 |
Broker | 중개인 |
시장 관련 용어 (Market Terms)
Bull Market | 상승장 |
Bear Market: | 하락장 |
Volatility: | 변동성 |
Liquidity: | 유동성 |
Trading Volume: 거 | 거래량 |
Spread: | 스프레드 (매수/매도 차이) |
Bid Price: | 매수 가격 |
Ask Price: | 매도 가격 |
Market Order: | 시장가 주문 |
Limit Order | 지정가 주문 |
상승장은 Bull Market, 하락장은 Bear Market?
'상승장'은 주식 시장에서 주가가 장기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말한다. 영어로는 'bull market'이라고 하는데, 이 용어는 '황소(bull)'가 상징하는 것처럼 시장이 강세를 보이며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황소'가 공격할 때 뿔로 상대를 위로 들어 올리는 모습에서 비롯된 것으로, 시장 가격이 위로 상승하는 모습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이렇게 불립니다. 반대의 경우, 가격이 하락하는 시장을 'bear market(곰 시장)'이라고 하며, 이는 '곰'이 공격할 때 앞발로 상대를 아래로 내리치는 모습에서 유래한다.
'시장가 주문'과 '지정가 주문'의 차이?
시장가 주문(Market Order)과 지정가 주문(Limit Order)은 주식이나 다른 금융 자산을 거래할 때 사용되는 두 가지 기본적인 주문 유형이다. 이들 간의 주요 차이는 주문 실행 방식과 가격에 대한 조건이다.
시장가 주문 (Market Order):
이 주문 유형은 가장 빠르게 실행되는 주문이다.
투자자가 주식을 즉시 매수하거나 매도하기를 원할 때 사용한다.
주문은 현재 시장에서 가능한 최고의 가격으로 즉시 실행된다.
시장가 주문은 가격을 지정하지 않기 때문에, 주문량이 큰 경우 예상치 못한 가격에 거래될 위험이 있다.
지정가 주문 (Limit Order):
투자자가 특정 가격(또는 그보다 더 좋은 가격)으로만 주식을 매수하거나 매도하길 원할 때 사용한다.
지정한 가격에 도달할 때까지 주문은 실행되지 않는다.
가격 보장은 있지만, 시장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지정가 주문을 설정한 경우, 주문이 실행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즉, 시장가 주문은 거래 실행의 신속성을 우선시하지만 가격 변동 위험이 있으며, 지정가 주문은 특정 가격을 보장받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 주문이 실행되지 않을 수 있는 차이가 있다.
투자 분석 용어 (Investment Analysis)
P/E Ratio (Price-to-Earnings Ratio) | 주가수익비율 |
EPS (Earnings Per Share) | 주당 순이익 |
ROE (Return on Equity) | 자기자본이익률 |
ROA (Return on Assets) | 총자산이익률 |
DCF (Discounted Cash Flow) | 할인된 현금흐름 |
Technical Analysis | 기술적 분석 |
Fundamental Analysis | 기본적 분석 |
금융상품 관련 용어 (Financial Products)
ETF (Exchange-Traded Fund) | 상장지수펀드 |
Mutual Fund | 뮤추얼펀드 |
Hedge Fund | 헤지펀드 |
Derivatives: | 파생상품 |
Futures | 선물 |
Options | 옵션 |
뮤추얼 펀드(Mutual Fund)란?
뮤츄얼 펀드는 여러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아 주식, 채권, 그 밖의 자산에 투자하는 투자 펀드이다. 이 펀드는 전문 펀드 매니저에 의해 운용되며, 투자 목적에 따라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하여 리스크를 관리하고 수익을 극대화하려고 한다. 뮤츄얼 펀드는 일반 대중에게 개방되어 있어 누구나 투자할 수 있으며, 투자자는 펀드의 지분을 나타내는 '펀드 지분증서'를 구매하여 펀드의 수익과 손실에 참여하게 된다. 뮤츄얼 펀드는 투자자의 자금을 기반으로 일정한 운용 수수료를 받으며, 투자의 규모와 범위가 넓어 개별 투자자가 단독으로 투자하기 어려운 시장에도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헤지펀드(Hedge Fund)란?
다양한 투자 기법을 사용하여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사모 투자 펀드.
헤지펀드는 일반적인 투자 펀드와 달리 규제가 덜하고, 레버리지(차입 투자)를 사용하거나 파생상품 같은 고위험 투자를 통해 큰 수익을 목표로 한다. 이 펀드들은 주로 고액자산가나 기관 투자자들에게 제공되며, 투자 진입 장벽이 높고 투자 위험도 크다. 헤지펀드의 목적은 시장의 변동성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시장의 상승뿐만 아니라 하락에서도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전략을 사용한다.
'선물'이 영어로 Future인 이유?
선물 거래에서의 '선물(future)'은 특정 상품이나 금융 자산을 미래의 정해진 시점에 약속된 가격으로 사고파는 계약을 말한다. 영어에서 'future'라는 용어는 '미래'를 의미하며, 이 거래 형태에서는 거래의 대상이 되는 상품이나 자산이 미래의 어느 시점에 실제로 인도되거나 결제될 예정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거래 및 규제 용어 (Trading & Regulation)
Short Selling | 공매도 |
Margin Trading | 마진 거래 |
Leverage | 레버리지 (지렛대 효과) |
SEC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 증권거래위원회 |
Compliance | 준법, 규제 준수 |
기타
Blue Chip Stock | 우량주 |
Growth Stock | 성장주 |
Value Stock | 가치주 |
Yield | 수익률 |
HODL (Hold On for Dear Life) | 장기 보유 (주로 암호화폐 관련) |
우량주가 Blue Chip인 이유?
'우량주'는 시장에서 안정적인 수익과 강한 재무 구조를 가진 대형 기업의 주식을 의미한다. 영어로는 'blue chip'이라고 하는데, 이 용어는 포커 게임에서 가장 높은 가치를 지닌 파란색 칩에서 유래되었다.
포커 게임에서 사용되는 칩에는 여러 색깔이 있고, 각 색깔은 다른 가치를 지닌다. 일반적으로 파란색 칩은 가장 높은 가치를 나타내며, 이러한 비유를 통해 가장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투자 대상이라는 의미로 주식 시장에서 사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blue chip'은 시장에서 잘 알려지고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대형 회사의 주식을 지칭하는 데 적합한 표현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