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MF의 뜻 

IMF(국제통화기금)는 환율과 국제 수지를 감시함으로써 국제 금융 체계를 감독하는 것을 위임받은 국제 기구로 1944년에 설립되었다. 회원국의 요청이 있을 때는 기술 및 금융 지원을 직접 제공한다. 본부는 미국 워싱턴 D.C.에 있다.

가입국은 총 191개국이며, 협력기구는 유엔(UN)이다. 

 

선진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서 일정량 기금 형태로 출자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특정 국가에 달러가 부족할 경우 달러를 융통해주며 국가별 특별인출권(Special Drawing Rights)에 맞춰 배당량(Quota) 형식으로 출자를 한다.

국가별 특별인출권(SDR)이란? 

국제통화기금 가맹국이 국제수지 악화 때 담보 없이 필요한 만큼의 외화를 인출할 수 있는 권리 또는 통화

 

주로 유동성의 위기로 갑자기 달러화 부족을 겪는 국가나 방만한 재정 정책으로 외화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는 국가들이 IMF에 구제 금융을 요청한다. 재정 지원을 받게 되면 해당 국가의 신용도가 깎이며, IMF의 지시에 따라 그 나라 경제 구조 자체를 재편해야 한다. 

 

IMF는 사안을 의결할 때 배당량 85% 이상의 찬성을 필요로 하는데, 미국은 17.86%를 가지고 있기에 실상 미국이 IMF 안건에 대한 거부권을 가지고 있다 (미국의 비동의 시 IMF는 어떠한 안건도 처리할 수 없음) 

반응형

1997 년 한국의 IMF 

국가부도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이 IMF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 양해각서를 체결한 사건으로, 당시 기업의 연쇄적 도산으로 외환보유액이 급감했고 IMF에 20억 달러 긴급 융자를 요청하였다. 

한국의 IMF 발생시기

1997년 11월 22일 ~ 2001년 8월 23일 (국제통화기금 관리 체제 기간: 1997년 12월 3일 ~ 2001년 8월 23일)

 

한국의 IMF 발생원인

1. 단기 외채 의존도의 증가: 한국 기업들은 비교적 이자율이 낮고 접근이 쉬운 국제 금융시장에서 단기 외채를 과도하게 차입했는데 이로 인해 외화 유동성 위험이 증가하였다. 

 

2. 금융 부문의 취약성: 당시 한국의 금융 시스템은 비효율적이었고 감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많은 금융기관들이 부실하게 운영되었고, 이는 시스템의 전반적 불안정성을 초래하였다. 

 

3. 기업 부채의 급증: 많은 대기업들이 과도한 차입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려 했는데, 이 과정에서 부채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4. 정부의 경제 정책 실패: 당시 정부는 외국 자본의 유입을 장려하였으나 위험 관리에 실패하여 외환 시장의 불안정을 초래했다. 

 

5. 국제 경제 환경의 변화: 아시아 내 다른 국가들에서도 경제 위기가 발생하여 국제 투자자들이 자본을 회수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한국 경제에 대한 신뢰도 하락과 자본 유출을 가속화시켰다. 

 

6. 통화 가치의 급격한 하락: 외환 보유고가 급격히 줄면서 원화 가치가 폭락하였고, 이로 인해 더 많은 외채 상환 부담이 가중되었다. 

 

한국의 IMF로 인한 결과  

1. 경제 구조의 재편: 위기 이후 한국 정부는 IMF와의 협약 하에 경제 구조 조정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이에 따라 금융, 기업, 공공 부문 등에서 대대적인 구조 조정이 이루어졌고, 많은 기업이 도산하거나 합병되었다.

반응형
1997년 한국 IMF 당시 사라진 기업 

거평그룹, 고합그룹, 극동그룹, 기아그룹, 나산그룹, 뉴코아그룹, 대농그룹, 대우그룹, 동아그룹, 삼미그룹, 신동방그룹,신동아그룹, 신호그룹, 쌍방울그룹, 쌍용그룹, 아남그룹, 온누리여행사, 우성그룹, 우방그룹, 진로그룹, 청구그룹, 태일정밀, 파스퇴르유업, 한보그룹, 한일그룹, 한신공연그룹, 해태그룹 


1997년 한국 IMF 당시 사라진 은행

강원은행, 경기은행, 대동은행, 동남은행, 동화은행, 보람은행, 서울은행, 조흥은행, 충북은행, 충청은행, 평화은행, 한국상업은행, 한국신탁은행, 한국외환은행, 한국장기신용은행, 한국주택은행, 한미은행, 한빛은행, 한일은행

 

2. 실업률 급증: 경제 구조의 변화와 기업들의 대규모 해고로 인해 실업률이 급격히 상승했다.

 

3. 소득 불평등의 심화: 위기와 구조 조정 과정에서 소득 불평등이 더욱 심화되어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의 격차가 커졌으며 중산층의 축소가 진행되었다.

 

4. 금융 시스템의 개혁: 위기를 계기로 한국의 금융 시스템이 전면적으로 개혁되었다. 은행과 금융기관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투명성이 향상되었습니다.

 

5. 국제사회에서의 위상 변화: IMF 구제금융을 받으면서 한국은 국제사회에서 일시적으로 신뢰를 잃었다.

 

한국의 IMF 극복 방법

1. 외환 위기 대응: 한국은 IMF에서 580억 달러의 구제금융을 받았다. 이 돈은 외환 시장 안정화 및 외채 상환에 쓰였다.

 

2. 금융 부문 개혁: 많은 금융 기관들이 부실 자산을 들고 있어서 문을 닫거나 합병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한국은 큰 은행 두 개를 폐쇄하고 여러 종합금융회사를 정리했다.

 

3. 기업 구조 조정:  많은 기업들이 부채를 줄이고 효율이 떨어지는 자산을 팔았다 (예: 대우 그룹은 경쟁력이 없는 12개 계열사를 처분)

 

4. 노동 시장 유연화: 위기를 계기로 한국 정부는 노동 시장을 더 유연하게 만드는 법을 통과시켰는데 이 때 해고 규제의 완화도 포함되었다. 

 

5. 투명성 강화 및 경제 정책 변경: 정부는 기업과 금융 부문의 투명성을 높여 국제 투자자들의 신뢰를 회복하려고 했다. 환율 정책을 포함해 경제 정책들을 재조정하여 시장 중심의 개방적 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했다.

반응형

 

금 모으기 운동이란? 

1997년 외환 위기가 닥치자 대한민국에서 벌어진 범국민적 운동. 대한민국에 있는 금을 국민들이 모아 시중에서 구입한 다음 한국은행의 금 보유고를 높여 그 금을 통해 국가신용도를 제고한 후 그를 바탕으로 외환보유고를 늘린다는 취지 하에 이루어졌다. 여기에 더불어,각자 집에 있는 미국 달러를 포함한 외화 모으기 운동도 동시에 전개되었다.

1998년 1월 5일부터 운동이 시작되어 2개월간 금을 모았으며 2월 말에는 국민은행과 주택은행이 금모으기 업무를 중지했고 4월 말에는 농협 중앙회가 마지막으로 업무를 끝내며 금모으기 운동이 종료되었다. 

당시 모인 금의 양은 1월에 165.65톤, 2월에 53.96톤, 3월에 5.38톤, 4월에 0.80톤으로 총합 약 225.79톤의 금이 모였다. 이는 4가구당 1가구 꼴로 평균 65g(17.33돈)을 내놓은 것이다.  모인 금은 대부분 수출되었고, 금을 수출한 ㄱ가격은 22억달러였다.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323

 

한국의 촌수 & 가족/친척 간 호칭에 관하여

한국 내 호칭의 경우, 부르는 '호칭' 외에 가리키는 '지칭'이 함께 있으니 참으로 복잡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아래에 정리된 내용으로 이에 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친가 1촌 (부

gaemimango1225.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