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민등록등본과 주민등록초본을 이민 등의 이유로 특정기관에 제출해야 할 때가 있다. 이 때, 민원24와 같은 정부홈페이지 등을 통해 영문본을 발급받을 수도 있으나, 직접 등초본을 영문으로 번역하고자 할 때, 해당 문서에서 등장하는 용어들을 영어로 어떻게 번역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주민등록등본

-세대주와 함께 거주하는 세대원들이 표시

-세대주가 변경되면 등본은 변경된 날짜로부터 재작성됨 

-전체 세대의 기본 정보가 필요한 경우 사용

주민등록초본

-개인의 주소변경 사항, 병역기록, 주민등록번호 정정 내역 등 개인의 상세한 정보가 표시

-본인의 주소지를 확인하거나 과거에 살았던 주소지를 확인 가능

-당사자의 상세한 개인 정보가 필요할 경우 사용 

반응형

주민등록등본 & 주민등록초본 영문 번역 시 용어 정리

주민등록등본 & 주민등록초본 영문 번역 시 용어 
주민등록표 (등본) Household Register (Resident Register)
주민등록표 (초본) Individual Register (Resident Register)
문서확인번호 Document Verification Number
담당자 Person in Charge
신청인 Applicant
세대주 성명 Householder's Name
세대 구성 Household Composition
현주소 Current Adress
사유 및 일자 Reason and Date
발생일 Date of Event
신고일 Date of Report
변동사유 Reason for Change
세대주와의 관계 Relationship with Householder
세대주 변경 Change of Householder
등록 상태 Registration Status
이하 여백  END OF INFORMATION
공란 BLANK
이 등본은 주민등록표의 원본 내용과 틀림없음을 증명합니다. This certifies that this household register fully reflects the information in the original household register. 
이 초본은 개인별 주민등록표의 원본 내용과 틀린없음을 증명합니다.  This certifies that this individual register fully reflects the information in the original individual resident register. 
본인이나 세대원은 정부 24에서 무료로 주민등록표를 열람하거나 교부받을 수 있습니다.  You or your household members can view or obtain a copy of the household register for free on Gov 24 (www.gov.kr).
정부 24에서 위 발급확인번호로 내용의 진위여부를 발급일로부터 90일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문서 하단의 바코드로도 진위확인(정부24앱 또는 스캐너용 문서확인프로그램)을 하실 수 있습니다.  You can verify the authenticity of the content using the issuance confirmation number on Gov 24 (www.gov.kr) for 90 days from the date of issuance. You can also verify the authenticity with the barcode at the bottom of the document using the Gov 24 app or a scanner for document verification.
주민등록번호 정정내역 없음  No Record of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Correction
도로명 주소 Road Name Address
출생등록  Birth Registration 
병역사항 Military Record
군번 Military ID Number

 

 

 

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 영문 번역 시 용어 정리

가족관계증명서 (Certificate of Family Registry) 용어 영어 번역가족관계증명서Certificate of Family Registry가족관계등록부 작성일Date of Issue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부칙 제3조 제1항In Accordance with th

gaemimango1225.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기본증명서는 개인의 기본적인 사항을 기재한 서류로 출생, 사망, 국적변경, 개명, 친권 등에 관한 사실을 증명하는 문서이고, 가족관계증명서는 본인 가족의 관계를 증명하는 서류로 출생, 혼인, 사망 등 가족관계의 변동사항이 기재된 문서이다. 이러한 문서의 경우, 이민 등의 이유로 번역본이 필요할 때가 있는데 이 때 각 용어들을 영어로 어떻게 번역해야 하는지 아래에서 알아보도록 하자. 

가족관계증명서 (Certificate of Family Registry) 용어 영어 번역

가족관계증명서 Certificate of Family Registry
가족관계등록부 작성일 Date of Issue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부칙 제3조 제1항 In Accordance with the Family Registry Law Addendum: Article 3, Section 1 
경정 전 Previous Place of Registration
경정 후  Current Place of Registration 
국적상실신고일 Renouncement of Citizenship Date
국적상실 Renouncement of Citizenship
대법원 Supreme Court 
도로명주소기록일 Date of Amendment to Place of Registration 
등록기준지 Place of Registration
말소사유: 법률 제8435호에 의하여 말소 Expiration Reason: Expiration due to Law Article 8435
말소일 Expiration Date
법정후견인의 취임일 Appointment of Legal Guardian Date
Family Origin
분가신고일 Branch Out (or Removal) Registry Date
사망신고일 Date of Death Registration 
송부일 Transmitted Date
송부자 Transmitted by
신고인 Reported by 
신고일 Report Date
이기사유: 호적법 시행규칙 부칙 제2조 1항 Transfer Reason: Family Registry Law: Article 2, Section 1
이기일 Transfer Date
이혼신고일 Date of Divorce Registration
입양 Adoption
입양신고일 Date of Adoption Registration
입적사유 Entry (or Inclusion) Reason
입적일 Entry (or Inclusion) Date
작성 Issue (or Creation)
작성사유 Purpose (or Creation Reason)
재제사유: 일부멸실우려 Reproduction Reason: In case of loss of destruction (electronic backup)
전산이기 Electronic Transfer
정정 Amendment
정정내용 Amendment Content
정정일 Amendment Date
제적등본 Certificate of Removal from Family Registry
종료사유 Conclusion Reason
주민등록번호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직권기록일 Authorized Recording Date
직권정정서작성일 Authorized Amendment Processing Date

or 

Date of Ex Officio Correction Recording
처리기관(관서) Authorizing Office or Managing Office
출생신고일 Date of Birth Registration
친권 Legal Custody
친권행사자 Legal Custodian
친권행사자 지정 협의일 Legal Custodian Appointment Date
통보일 Notification Date
통보자 Notified by
특정등록사항 Special Registration Content
편제일 Formation Date
폐쇄 Closure
폐쇄사유 Closure Reason
폐쇄일 Closure Date
허가법원 Authorizing Court
호적말소 Registry Expiration
호적재제 Registry Reproduction
호적편제 Registry Formation
호주 Family Head
호주상속 Transfer of Family Head 
호주상속사유: 전호주사망 Transfer of Family Head Reason: Death of Former Family Head
호주상속일 Transfer of Family Head Date
후견 Legal Guardianship
후견인  Legal Guardian 

 

반응형

기본증명서  (Basic Certificate) 용어 영어 번역

기본증명서 Basic Certificate
등록기준지 (본적지) Original Domicile
구분 Category
전 등록기준지 Prior Original Domicile
현 등록기준지 Current Original Domicile
본인 Self
출생주소 Place of Birth
(출생)신고일 Date of Report
(출생)신고인 Reported by 
송부일 Transmitted Date
송부인 Transmitted by 
국적회복허가일 Permission Date of the Reinstatement of Nationality
국적회복전국적 Prior Nationality before the Reinstatement of Nationality
개명허가일 Permission of Date of the Change of Name
허가법원  Court which Permitted the Change of Name
개명전이름 Prior Name before the Change of Name
개명후이름 Changed Name after the Change of Name
발행번호 Issuance Number

 

 

주민등록등본 및 초본 영문 번역 시 용어 정리

주민등록등본-세대주와 함께 거주하는 세대원들이 표시-세대주가 변경되면 등본은 변경된 날짜로부터 재작성됨 -전체 세대의 기본 정보가 필요한 경우 사용주민등록초본-개인의 주소변경 사

gaemimango1225.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번역가 Emily입니다.

이력서에 대해서 얘기할 때, 레주메(Resume)라고 하기도 하고, CV(Curriculum Vitae)라고 하기도 하는데요. 

"Resume"란 단어는 프랑스어 "résumé"에서 유래한 것으로, "요약"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Resume"의 발음이 "레주메"로 흔히 알려진 이유는,

이 단어가 영어권에서 사용되는 데 있어서 프랑스어 "résumé"의 발음을 차용했기 때문입니다.

프랑스어에서 "résumé"는 "레주메"와 같은 발음으로, 영어권에서는 이를 그대로 발음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Curriculum vitae"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인생의 경력" 또는 "삶의 이력"을 의미하죠. 

영어권에서는 일반적으로 '커리큘럼 비타이'라고 발음하여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CV"로 축약하여 사용되지요. 

 

두 용어 모두 구직자가 사용하는 문서로,

자신의 경력, 학력, 기술 및 업적 등을 기록하여 잠재적인 고용주에게 제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  둘은 그 목적과 들어있는 내용, 그리고 형식에서 차이가 존재한답니다. 


RESUME (레주메)
  • 미국과 캐나다에서 사용
  • 1~2페이지 분량으로 자신의 경력/능력을 간략하게 소개
  • 직무나 회사별로 맞춤식으로 작성되어, 자신의 경력과 기술을 간결하게 보여주는 문서
  • 경력, 학력, 기술, 업적, 자격증, 수상 내역 등을 요약해서 나열
  • 구체적 업무 경험과 성과, 자신의 능력과 기술 강조 --> 간결하게 자신의 역량 소개 (핵심 정보를 알림)
  • 각 취업 기회에 대해 맞춤식으로 작성되며, 간결하고 직관적인 요약서
CV (Curriculum Vitae)
  • 영국, 호주, 뉴질랜드, 유럽 등에서 사용
  • 경력, 학력, 자격증, 연구 경험, 출판물 등 상세한 내용을 소개
  • 2페이지 이상
  • 논문이나 학술 연구 경험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 --> 상세한 경력과 학력, 자격증 소개 (보다 상세하게)
  • 학문적인 분야나 연구 기관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적합

아래에 두 양식의 차이를 이미지로 보여드려 볼게요. 

이 두 차이는 지역이나 업계 및 직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취업 지원 시 해당 지역의 관행에 맞추어 적절한 문서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레주메 작성 시 유의점
  • 적절한 길이 유지: Resume는 일반적으로 1-2 페이지로 작성하는 것이 적당합니다. 긴 길이의 Resume는 고용주의 관심을 떨어뜨릴 수 있으며, 직무와 관련없는 정보나 불필요한 세부 정보는 생략해야 합니다.
  • 명확하고 간결하게 작성: Resume는 고용주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명확하고 간결하게 작성되어야 합니다. 복잡하거나 어려운 용어는 피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타겟팅: Resume는 특정 직무나 회사에 대해 맞춤식으로 작성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회사의 요구 사항과 채용 공고를 자세히 살펴보고, Resume에 자신이 이에 부합하는 경력과 기술을 강조해야 합니다.
  • 경력과 업적 강조: Resume는 자신의 경력과 업적을 중심으로 작성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자신이 이끌거나 기여한 프로젝트, 달성한 목표, 받은 상과 같은 성과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좋습니다.
  • 오타 및 맞춤법 확인: Resume에 오타나 맞춤법 오류가 있으면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 적절한 포맷 사용: Resume는 깔끔하고 전문적인 디자인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Times New Roman, Arial, Calibri 등과 같은 보편적인 글꼴과 적절한 간격, 여백을 사용하여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 수시로 업데이트: 새로운 경력이나 기술, 학력 등이 추가되면 Resume을 업데이트하여 최신 정보를 반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CV 작성 시 유의점
  • CV의 길이: CV는 Resume보다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2-3 페이지 이상으로 작성됩니다. 그러나 지원하는 직무와 회사의 요구사항에 따라 길이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자기소개서와 구분: CV는 자기소개서와 구분되어야 합니다. CV는 개인의 경력, 학력, 기술 등을 상세하게 기술한 문서이며, 자기소개서는 CV와는 달리, 개인의 역량, 목표, 업무경험 등을 이야기하는 비교적 간단한 문서입니다.
  • 명확하고 직관적인 정보: CV는 명확하고 직관적인 정보를 담아야 합니다. 각 항목은 제목, 내용, 기간 등을 포함하여 구체적으로 작성되어야 하며, 어려운 용어나 긴 문장보다는 직관적이고 간결한 표현이 필요합니다.
  • 경력사항: CV에서 경력사항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각 경력은 회사명, 근무 기간, 직책, 업무내용 등을 포함하여 구체적으로 작성되어야 합니다. 특히, 자신의 경력사항이 직무와 관련된 경우, 세부적인 내용과 업적을 강조하여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 학력사항: 학력사항은 자신의 학력을 구체적으로 나열하면서, 대학명, 전공, 학위, 졸업년도 등을 포함하여 작성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학업 경력과 관련된 역량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 기술사항: CV에는 자신이 보유한 기술과 역량을 자세하게 나열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자신의 전문성과 역량을 강조할수 있으며, 기술 섹션에는 개인 프로젝트나 관련 자격증 등을 포함하는 것이 좋습니다.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197

 

영문 이력서에서 많이 쓰이는 영어 단어 / 표현 모음

안녕하세요, 번역가 Emily입니다. 이력서를 영문으로 번역할 때는 자주 보게 되는, 그리고 자주 사용하게 되는 특정 단어 및 표현들이 있는데요. 보통 지원자의 역량이나 지원자가 그동안 쌓아온

gaemimango1225.tistory.com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140

 

영문 이력서에 자주 쓰이는 영어 (성장과정, 인문계/실업계는 영어로?)

안녕하세요, Emily 입니다. 한->영 이력서 번역 문의가 들어오면 보통 내용만 번역할 뿐 아니라 폼까지 바꾸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때 내용만 영어로 번역 시, 한글 이력서 폼에서 흔히 볼

gaemimango1225.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번역가 Emily입니다.

이력서를 영문으로 번역할 때는 자주 보게 되는,

그리고 자주 사용하게 되는 특정 단어 및 표현들이 있는데요.

보통 지원자의 역량이나 지원자가 그동안 쌓아온 커리어 및 업무에 대한 설명이 주가 되다 보니 

능력과 관련된 긍정적 의미의 용어들, 무언가를 '실행했다' 무언가를 '이루어냈다' 

이러한 성과적인 용어들이 많이 등장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단어들을 영어로 번역 시

어떠한 단어를 사용하면 좋을 지에 대해 간략히 정리하며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아래의 리스트를 통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Experience: 경력

Skills: 기술, 역량

Achievements: 성취, 업적

Education: 학력

Qualifications: 자격증, 취득 자격

References: 추천서, 참조인

Proficient: 숙달된, 능숙한

Fluent: 유창한

Excellent: 우수한

Detail-oriented: 세부적인 것에 주의하는

Team player: 팀워크가 잘 되는, 협력적인

Analytical: 분석적인

Problem-solving: 문제 해결 능력

Communication: 의사소통 능력

Leadership: 리더십, 지도력

Time management: 시간 관리 능력

Initiative: 적극성, 주도성

Adaptability: 적응성

Interpersonal skills: 대인관계 능력

Result-driven: 결과 중심적인


이외에도 이력서 작성 시 도움이 되는 유용한 표현(동사) 및 어구들이 있습니다.

*이력서 작성 시에는 동사의 시제를 보통 '과거형'으로 쓰기에

과거형으로 모두 작성해봅니다. 


Responsible for: ~을 책임지다

Managed: 관리하다

Developed: 개발하다

Coordinated: 조정하다

Conducted: 실시하다

Implemented: 시행하다

Organized: 조직하다

Improved: 개선하다

Collaborated with: ~와 협력하다

Initiated: 시작하다

Led: 이끌다

Facilitated: 원활하게 하다

Negotiated: 협상하다

Communicated with: ~와 의사소통하다

Presented: 발표하다

Analyzed: 분석하다

Resolved: 해결하다

Optimized: 최적화하다

Reviewed: 검토하다

Trained: 교육하다

 

Strong knowledge of: ~에 대한 강력한 지식

Expertise in: ~에 대한 전문 지식

Extensive experience in: ~에 대한 광범위한 경험

Proven track record in: ~에서 입증된 성과 기록

Consistently met or exceeded targets: 목표를 지속적으로 충족 또는 초과함

Successfully completed: 성공적으로 완료함

Contributed to: ~에 기여함

Implemented strategies to: ~을 위한 전략을 실행함

Managed projects involving: ~를 포함하는 프로젝트를 관리함

Conducted research into: ~에 대한 연구를 실시함

Utilized strong analytical skills to: 강력한 분석 능력을 활용하여 ~함

Demonstrated excellent communication skills: 우수한 의사소통 능력을 나타냄

Led cross-functional teams: 크로스 기능적 팀을 이끌었음

Built strong relationships with: ~와 강력한 관계를 구축함

Initiated and implemented process improvements: 프로세스 개선을 시작하고 실행함

Developed and delivered presentations: 발표 자료를 개발하고 제공함

Negotiated contracts with: ~와 계약 협상을 함

Consistently delivered high-quality work: 지속적으로 고품질의 작업을 제공함

Adapted quickly to new environments: 새로운 환경에 빠르게 적응함

Mentored and trained team members: 팀원들에게 멘토링하고 교육함

 

이러한 표현들은 이력서 작성시 도움이 되는 예시들일 뿐,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출처: https://www.careercloud.com/news/action-verbs-for-resume

 

이력서 작성시 지원하는 회사나 분야에 따라 적합한 표현을 사용해야 하며,

적절한 어휘와 표현을 사용하여

자신의 경력과 능력을 효과적으로 어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번역가 Emily입니다. 

몇 차례 논문이나 초록의 번역을 맡게 되면서 몇 가지 유의할 점을 

논문 작성자 그리고 번역자 모두 알고 있어야 좋습니다.

오늘의 포스팅에서는 이렇게

한국어에서 영어로 논문을 번역할 때에 알아두어야 할 점들을 적어보도록 할게요. 


1. 번역의 목적 파악

번역의 목적이 무엇인지 명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번역을 하려는 이유가 국제 학술지에 게재하고자 함인지,

해외 연구자들과 이 내용을 공유하기 위한 것인지 등에 따라서

번역의 방식 및 어휘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전문 용어의 사용

논문에서는 전문 용어가 많이 사용되는데,

이 때 해당 분야의 전문 용어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번역해야 합니다.

일반적 번역기나 사전보다는 해당 분야의 전문 용어 사전을 참고하고,

특히나 주로 등장하는 키워드와 같은 경우에는

논문 작성자와 사전에 특정 용어는 어떠한 단어로 번역이 되어야 함을 얘기하여야

추후에 이러한 부분에 있어다시 수정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습니다. 

 

3. 문장 구조 파악

한국어와 영어는 문장 구조가 다르므로

번역 시 이 구조를 파악하고 올바르게 재구성을 해야 합니다.

긴 문장을 단순화하거나 분할하는 등의 작업이 요구될 수도 있습니다. 

 

4. 문화적 차이 고려

문화적 차이로 인해 일부 용어나 문장은 번역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때는 해당 분야의 전문 용어나 표현을 찾아 번역하거나,

해당 분야 전문가나 다른 번역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5. 번역 검수

번역 후에는, 너무나 당연한 절차이지만 검수 작업을 실시해야 합니다.

번역된 문서를 여러 차례 읽어보고 번역된 내용이 의도한 바와 일치하는 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이 있어야 번역의 정확성이 보장될 수 있죠.


적어드리는 모든 항목이 다 중요하지만 1,2,3,4번을 거치고 난 후 마지막 작업이 될 수 있는 5번이 저에게는 가장 중요하게 느껴집니다.번역에 소요된 시간 만큼이나 검수를 하는 데에도 시간이 적지 않은 소요되고 또 높은 집중력이 요구된답니다.

다음에는 번역과 관련된 새로운 내용으로 포스팅해보도록 할게요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Emily 입니다.

문서를 번역할 때면 타이틀(제목) 또한 함께 번역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 때, 작은 규칙들이 있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혹, 그냥 단어 첫번째 알파벳들은 다 대문자로 하는 것으로 알고 계시진 않으셨는지요?
저는 예전에 번역학원에 다닐 적에 이를 배웠는데요.

규칙을 알려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첫번째 단어와 마지막 단어 첫 알파벳은 대문자로 쓴다(관사, 대명사일지라도)

While You Were Sleeping
-> 첫번째, 마지막 단어의 첫 알파벳 모두 대문자로 처리

The Devil Wears Prada
-> the는 관사지만 첫번째 단어라 첫 알파벳을 대문자로 처리, Prada는 고유명사이기도 해서 애초에 대문자로 처리

The Ocean at the End of the Lane
-> the는 관사지만 첫번째 단어라 첫 알파벳을 대문자로 처리, Lane은 마지막 단어이자 명사이기 때문에 대문자로 처리
(Lane 앞의 the 관사는 기본적으로 소문자로 처리)

 


반응형


명사, 대명사, 형용사, 동사, 구동사(care for, play with와 같이 다른 전치사와 합쳐져서 새로운 뜻을 나타내는 것), 종속 접속사(that, since, as, if)의 첫 알파벳은 대문자로 쓴다.

Harry Potter and the Philosopher’s Stone

Charlie and the Chocolate Factory

Things Fall Apart Is by Chinua Achebe
-> fall apart : 구동사
-> Is : 동사(be 동사)

 

반응형


관사(a, an, the), 등위접속사(and, but, or, for), 전치사첫 알파벳은 소문자로 쓴다.

The Devil Thumbs a Ride
-> a는 관사

A Funny Thing Happened on the Way to the Forum
-> on, to는 전치사, the는 관사

참고: 일부 접속사(but, yet)와 전치사(over, through)는 첫 알파벳을 대문자로 하기도 하고 소문자로 하기도 하는데,
이는 작성 지침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미국 영어 문법 스타일 및 가이드(AP)에 따르면, 알파벳이 4개 이상일 경우(without)에는 첫 알파벳을 대문자로 쓰지만
시카고 방식의 경우, 모든 전치사는 그 길이에 상관없이 첫 알파벳을 소문자로 씁니다.
꼭 정해진 답이 있다기 보다는 따르고자 하는 방식 가이드에 맞추어 작성하심이 좋겠습니다.

We Need to Talk About Kevin
-> to의 첫번째 알파벳은 소문자로 썼으나, about의 첫번째 알파벳을 About으로 작성

반응형

 



이해가 되셨나요?
저는 쉽게 생각해서, 관사는 앞에 오지 않고서야 소문자
전치사는 너무 짧으면 소문자
사실 거의 이것만 염두해두고 작성한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Emily 입니다. 

 

가끔 영어 원문을 볼 때면 어떤 경우에는 such as 앞에 쉼표(comma)가 있을 때도 있고

없을 때도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이는 기분에 따라 어떤 때는 써보고 어떤 때는 안 써보고 

이런 경우가 아니라, 쉼표가 필요/불필요할 때가 각각 있습니다. 

 

 

아래에 예를 들어 함께 설명을 적어보겠습니다.

 


쉼표(콤마)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In this village, you can see various types of trees, such as nut pine and chestnut.

(이 마을에서 당신은 전나무나 밤나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nut pine과 chestnut는 비제한적(nonrestrictive)이기 때문에 쉼표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비제한적'이라는 것이 과연 어떤 의미일까요? 

such as가 달고 있는 부분 (such as nut pine and chestnut)을 떼어놓고 문장을 봐볼까요? 

In this village, you can see various types of trees.

이를 떼어놓고 보더라도 해당 문장은 여전히 사실입니다. 

 


쉼표(콤마) 없이 사용해야 하는 경우 

 

 

이는 당연히 위와 반대되는 경우겠죠?

such as가 제한적 절(restrictive)일 경우에는 쉼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바로 아래와 같은 경우이죠. 

Animals such as king cobra and stonefish have poison.

(킹 코브라나 스톤피쉬와 같은 동물들은 독이 있다) 

여기에서 such as에 해당되는 부분 (such as king ocbra and stonefish)을 떼어놓고 문장을 봐볼까요?

Animals have poison. 

이 문장은 사실이 아닙니다. 될 수 없죠. 독이 있는 동물들도 있지만, 아닌 동물들도 있잖아요? 

이렇게, such as는 해당 문장에 동물에는 특정한 유형이 있다는 점에 제한을 주는 것입니다. 

 

이처럼 such as는 말하고자 하는 것에 관하여 특정한 예를 들 때 사용해야 합니다.

만일 해당 예가 그 문장의 정확도에 필수적이지 않다면 쉼표를 such as 앞에 쓰면 되는 것이며 

만일 그렇지 않다면 쓰지 않도록 합니다. 

 

 

 

아래에 예를 더 들어보며 오늘의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such as 앞에 쉼표 O 

 

Some fruits, such as lemons and oranges, are high in vitamin C. 

(레몬이나 오렌지와 같은 과일은 비타민C가 많다)

-> 비타민C가 많은 과일들이 있음 -> 그 예 중 일부가 레몬과 오렌지 

 

I am so hungry that I just want to eat anything, such as pizza or hamburger

(난 너무 배가 고파서 피자나 햄버거 같이 뭐라고 그냥 먹고 싶어)

-> 배가 고파 뭐라도 먹겠으며, 피자나 햄버거 같은 것 

 

such as 앞에 쉼표 X 

 

Food such as French fries and candies are not good for your health. 

(감자튀김이나 사탕과 같은 음식은 너의 건강에 좋지 않다) 

-> 모든 음식들이 네 건강에 좋은 게 아니라 '감자튀김'이나 '사탕' 같은 것임 

 

During this vacation, I want to visit cities in Europe such as Paris or Rome.

(이번 휴가 때 나는 파리나 로마와 같은 도시들을 방문하고 싶어) 

-> 내가 가고 싶은 곳은 '파리'와 '로마' 

반응형
반응형


국문이력서를 영문이력서로 번역 시, 개인적인 내용들을 제외하고 이력서 양식 내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의 경우,

아래의 용어집을 참고하여 영문으로 번역하시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직책(position)

직책명(국문) 직책명(영문)
사원 Rank-and-file employee
대리 Assistant manager 
과장 (Department) manager
차장 Deputy general manager
부장 Executive manager
이사 Director 

 



병역

병역 상태(국문) 병역 상태(영문)
군필 Fulfilled
미필 Unfulfilled
면제 Exempted

 


각종 자격증 명칭 (가나다 순)

자격증 명칭(국문) 자격증 명칭(영문)
감정평가사 자격증 Certified Appraiser
건축기사 자격증 Engineer Architecture
경영지도사 자격증 Certified Management Consultant
공인노무사 자격증 Certified Public Labor Attorney
공인중개사 자격증 Licensed Real Estate Agent
공인 회계사 자격증 Certificate of Certified Public Accountant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증 Tourist Guide
관세사 자격증 Certified Customs Broker
기술지도사 자격증 Certified Technology Consultant 
미용사 자격증 Nail Technician(네일),
Make up Artist(메이크업),
Hairdresser(일반), Esthetician(피부)
미용장 자격증 Master Hairdresser
변리사 자격증 Certified Patent Attorney
비서 자격증 1급: Secretarial Administrator Level-Ⅰ
2급: Secretarial Administrator Level-Ⅱ
3급: Secretarial Administrator Level-Ⅲ
세무사 자격증 Certified Tax Accountant
식품기사 자격증   Engineer Food Processing
사회복지사 자격증   1급: 1st Grade Social Worker
용접기능사 자격증   Craftsman Welding
워드 프로세서 자격증   1급: Word Processor User, Level-I
2급: Word Processor User, Level-
임상 심리사 자격증 Clinical Psychologist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Engineer Information Processing 
정수시설운영관리사 자격증 1급: Water Treatment Plant Operator (1st Grade)
조리 관련 자격증 복어조리기능사: Craftsman Cook, Blowfish
복어조리산업기사: Industrial Engineer Cook, Blowfish
양식조리기능사: Craftsman Cook, Western Food
양식조리산업기사: Industrial Engineer Cook, Western Food
일식조리기능사: Craftsman Cook, Japanese Food
일식조리산업기사: Industrial Engineer Cook,  Japanese Food
중식조리기능사: Craftsman Cook, Chinese Food
중식조리산업기사: Industrial Engineer Cook, Chinese Food
한식조리기능사: Craftsman Cook, Korean Food
한식조리산업기사: Industrial Engineer Cook, Korean Food
전기기능사 자격증   Craftsman Electricity
직업 상담사 자격증 1급: Vocational Counselor, Senior
2급: Vocational Counselor
컴퓨터 활용능력 자격증 1급: Computer Specialist in Spreadsheet & Database Level-Ⅰ
2급: Computer Specialist in Spreadsheet & Database Level-



반응형

언어 관련 자격증 명칭 

언어 관련 자격증(국문) 언어 관련 자격증(영문)
한어수평고시
(HSK: 국제 중국어 시험)
HSK 1(혹은 level I), 
HSK 2(level II), 
HSK 3(level III), 
HSK 4(level IV), 
HSK 5(level V), 
HSK 6(level VI)
일본어 능력시험
(JLPT: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Test) 
JLPT N1,
JLPT N2,
JLPT N3,
JLPT N4,
JLPT N5
토익  TOEIC (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토플  TOEFL (Test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아이엘츠  IELTS (International English Language Testing System)



반응형

 

[참고]

자격증을 얘기할 때 certificate라 하고 면허증을 얘기할 때 license라고 하는데요.
이 두 단어가 헷갈릴 수도 있습니다.

certificate에서의 이 certified는 어떠한 '기준(standards)'에 적합하게 되어 공식적으로 인정(acknowledged)을 받았음, 그것을 잘한다(perform well)는 것을 보여주는 test를 통과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license에서의 licensed는 공식적으로 무언가를 하도록 허가(allowed)를 받았음을 의미합니다. 
때문에, 운전면허증은 certificate가 아니라 license가 (운전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음)
되는 것입니다.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m/140

 

영문 이력서에 자주 쓰이는 영어 (성장과정, 인문계/실업계는 영어로?)

안녕하세요, Emily 입니다. 한->영 이력서 번역 문의가 들어오면 보통 내용만 번역할 뿐 아니라 폼까지 바꾸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때 내용만 영어로 번역 시, 한글 이력서 폼에서 흔히 볼

gaemimango1225.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학/석/박사 학위 취득시 학생들은 연구를 하고 이에 관한 논문을 쓰게 됩니다. 

이 논문은 그들이 취득하는 학위에 따라 학사학위논문, 석사학위논문, 그리고 박사학위 논문으로 구분이 됩니다. 

 

영어에서는 '논문'이라고 할 때 thesis라는 단어가 자주 쓰이는데요. 이 thesis라는 단어 뿐만 아니라 dissertation과 treatise라는 단어 또한 논문을 의미하는 단어로 존재합니다. 이 차이는 무엇일까요?

 

차이에 관해 간단히 들어본 적 있는 분들이라면 thesis는 학석사 학위 논문을, dissertation은 박사 학위 논문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고 계실 것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아래에 thesis와 dissertation의 차이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hesis와 dissertation의 차이 

 

1) thesis가 학/석사, dissertation은 박사 논문이라는 것은 미국에서의 정의이며, 영국에서는 그 반대이다. 

2) thesis는 현재 존재하는 research(연구)를 기반으로 한다. 즉, 현존하는 아이디어들에 대하여 연구자의 입장을 취하면서 이에 관해 defense하는 내용인 것이다. 

3) dissertation은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학생들이 자신만의 research를 행한 뒤 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즉, 새로운 research를 요하게 된다. 

4) dissertation은 thesis 보다 분량이 길다. 

반응형

 

thesis는 '학/석사 논문'을 의미하는데, 여기에서 학사 논문/석사 논문으로 구분하여 영어로 말하고자 할 경우에는 bachelor's thesis(학사논문) 그리고 master's thesis(석사논문) 이라 해주시면 됩니다. 

전문학사 학위: associate degree
학사 학위:bachelor's degree
석사 학위:master's degree
박사 학위: doctor's degree

 

그러나 '박사 논문'의 경우에도 thesis를 사용하여 doctor's thesis (또는 doctoral thesis)라고 합니다. 


treatise란? 

마지막으로 treatise에 관해서 설명해드리자면, 이는 '학술논문'을 의미합니다. 

thesis나 dissertation은 대학(원)졸업을 위해 작성하게 되는 논문(학위논문)을 의미하는 반면

학술논문은 '학계에 알리고자 학술지에 투고하는 것으로 대학원생/교수에 의해 작성되는 논문'입니다.


Thesis, Dissertation, Treatise 비교 
용어 정의 목적 학위단계
Thesis (논문)



석사 학위를 위한 학술적 작업으로, 중요한 이론이나 개념을 조사 및 분석하며, 새로운 연구 결과를 제시함.

학문적 지식 확장 및 특정 이론의 실증적 검증


석사



Dissertation (박사학위 논문)


박사 학위를 위한 심층적 연구로, 해당 학문 분야에 중대한 기여를 목표로 새로운 이론을 창출하거나 기존 이론에 대한 해석을 제공함. 해당 학문 분야에 중대한 기여 및 새로운 학문적 통찰 제공

박사


Treatise (학술 논고)


공식적인 학위 취득이 아닌, 특정 주제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 주로 학문적 논문이나 책 형태로 발표됨. 특정 학문적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지식 체계화

없음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163

 

각종 자격증들, 영어로 어떻게 써야 할까 (워드 프로세서 1급은 영어로?)

국문이력서를 영문이력서로 번역 시, 개인적인 내용들을 제외하고 이력서 양식 내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의 경우,아래의 용어집을 참고하여 영문으로 번역하시면 좋겠습니다.  직책(pos

gaemimango1225.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Emily 입니다.

어제 오랜만에 '행복을 찾아서(The Pursuit of Happyness, 2007년 작)'라는 영화를 보았어요.
*영화 제목에서 '행복'은 happiness가 아니라 happyness입니다. 이유는 영화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

이 영화는 미국의 배우 'Will Smith(윌 스미스)'와 그의 친아들 'Jaden Smith(제이든 스미스)'

가 주연으로 나온 작품으로,

미국의 기업가 '크리스 가드너'의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랍니다.


'절망' 속에 있는 한 남자가 '희망'을 잃지 않고 아들과 함께

역경을 헤쳐 나가는 이야기, 라고 짧게 말씀드릴 수 있겠는데요.

작품성이야 말할 것 없고, 윌 스미스는 이 작품 덕분에

아카데미상과 골든글러브상 남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고 합니다.


장면 하나 하나에서 그의 명연기를 볼 수 있는데요.

특히나 마지막 장면은,

이 영화를 저는 다섯 번은 본 것 같은데 여전히 그 씬에서는 눈물이 또르르 흘러내린답니다.

https://youtu.be/x8-7mHT9edg



이야기 중, 크리스는 아들을 데리고 자신의 잠재적 고객이 될 지 모를

미식축구를 좋아하는 한 남자의 집에 찾아갑니다.

남자와 우연을 가장한 인연을 맺기 위해,

아들을 데리고 남자의 집으로 향하는 길에 아들은 아버지에게

우리가 미식축구에 확실히 보러 가는 건지 아닌 지를 묻죠
*하단 영상 참고: 1분 17초부터 대화 시작

https://youtu.be/1kBAxsFui1w



Chris: I said possibly we're going to the game.

You know what "possibly" means?

(어쩌면 보러 갈지도 모른다고 했지.

'어쩌면'이 무슨 뜻인지 아니?)



Christopher: Like probably.

('아마도' 같은 거요)


Chris: No, "probably" means there's a good chance that we are going.

"Possibly" means we might, we might not.

(아냐, '아마도'는 우리가 [미식축구를 보러] 갈 가능성이 크단 거고,

'어쩌면'은 못 갈 수도 있단 말이야)


두 단어의 설명을 영화가 가르쳐 주네요 :)


위에서 알려주듯이 어떠한 일의 가능성이 더 클 때 probably가 사용됩니다.

검색을 통해 또한 이러한 답을 들을 수가 있었죠.


Probably : Chances of happening are high (일어날 가능성이 높음 / 가능성을 50% 이상으로)

Possibly: Chances of hapenning are not zero (일어날 가능성이 0는 아님 / 가능성을 1% 정도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