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이력서에서 영문 이력서로 번역 시, 한글 이력서 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단어들, 예를 들어 학력, 경력, 성장과정, 입사 후 포부 이런 단어들을 영어로 옮겨야 합니다. 이러한 단어들은, 무턱대고 파파고나 챗지피티와 같은 AI 번역툴을 통해 번역할 시, 너무나 뻔한 직역 형태로 번역이 되어서 그 의미를 전달하는 데에 있어 실패로 이어질 수가 있습니다.
아래에는, 영문 이력서로 번역(작성) 번역 시 자주 쓰이는 영어 어휘에 관하여 정리가 되어 있습니다.
[이력서 항목]
이력서 어휘 (국문) | 이력서 어휘 (영문) |
학력 | Education 영어사전 검색 시 '학력'을 번역하고자 할 시 academic background, educational background가 보통 확인될 것입니다. 이렇게 써도 무방하며, 이를 좀 더 간략하게 Education이라고만 써주셔도 깔끔하고 좋습니다. *참고사항: 타이틀 작성시에는 academic background 이렇게 쓰기보다는 각 단어의 1번째 알파벳은 대문자로 처리하여 Academic Background 이렇게 써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인문계 / 실업계 | Academic / Vocational 한국 고등학교 시스템은 학교 졸업 후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인문계와, 취업을 목표로 하는 실업계로 나뉩니다. 이 때, 인문계는 academic으로, 실업계는 vocational로 써주시면 됩니다. High school이라 쓰고 괄호처리하여 academic 혹은 vocational 이라 작성해주셔도 좋습니다. |
경력 | Work experience, Professional experience, Work history, Employment, Experience 심플하게 Experience라고만 쓰기도 하고, 좀 더 분명하게 Work 혹은 Professional을 앞에 붙이기도 하며 Work history라고 쓰기도 합니다. 어느 쪽으로 작성하셔도 무방합니다. |
대외활동 | Extra-curricular activities 이는 동아리나 공모전 등, 학업 외에 했었던 활동에 대한 항목입니다. 해당 용어를 번역하실 때에는 커리큘럼 과정 외의 활동을 의미할 수 있도록 위와 같이 작성해주시면 의미가 전달될 수 있겠습니다. |
직책 | Position Rank-and-file employee (사원) Assistant manager (대리) (Department) Manager(과장) Deputy general manager(차장) Executive manager(부장) Director (이사) |
군필여부 | Military service status 군필은 fulfilled, 미필은 unfulfilled, 면제는 exempted라 작성하면 됩니다. |
한국 기업의 경우 외국에 비해 직급이 보다 세분화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각 용어들은 학국 기업 내 직책에 맞게 새롭게 용어가 만들어지는 방식을 바탕으로 하여 위와 같이 적어주시면 의미 전달에 있어 어려움이 없겠습니다.
Position과 Rank, 그리고 Title의 차이는 무엇일까?
Position: 조직 내에서의 특정한 역할 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단어
Rank: 조직 내에서의 등급이나 직위를 나타내는 단어로, 직급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표현
Title: 직장에서 사용되는 특정 직무 또는 직급의 명칭을 나타내는 단어
[자기소개서 항목]
자기소개서 어휘 (국문) | 자기소개서 어휘 (영문) |
성장과정 | Personal history 혹여나 영어사전에서 검색을 해서 성장과정이 process growth라고 나올 수가 있는데 이대로 쓰시면 안됩니다. 자기소개서를 쓸 때 성장과정 항목에서는 보통 성장과정에서부터 학창시절까지, 본인이 어떠한 삶을 보내왔는지 쓰는 거잖아요. 그렇기에 이 단어는 영어로 Personal history로 옮기는 것이 의미 상 적절합니다. |
성격의 장단점 | (Personal) strength and weakness 성격의 장단점은 위와 같이 영어로 옮겨주시면 됩니다. 앞의 Personal 이라는 단어는 생략해도 무방합니다. 복수로 처리하여 strengths 그리고 weaknesses로 적어주셔도 되겠습니다. |
지원동기 | Reason for application, Motivation in applying for this job(position) 지원동기라는 항목에 대한 번역은 이와 같이 적어주시면 되겠습니다. |
입사 후 포부 | Career aspirations, Career goals, Career objectives 자기소개서 마지막 항목에 꼭 등장하는 내용입니다. 해당 용어는 위의 3가지 중 택일하여 작성하시면 되겠습니다. |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m/163
각종 자격증들, 영어로 어떻게 써야 할까 (워드 프로세서 1급은 영어로?)
안녕하세요, Emily입니다. 이력서를 번역하다 보면 이젠 외워져서 바로 바로 영어로 어떻게 써야 되는 지 머리 속에 떠오르는 단어들이 있는 반면, 아직도 검색을 해야 하는 것들이 있답니다. 예
gaemimango1225.tistory.com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197
영문 이력서에서 많이 쓰이는 영어 단어 / 표현 모음
안녕하세요, 번역가 Emily입니다. 이력서를 영문으로 번역할 때는 자주 보게 되는, 그리고 자주 사용하게 되는 특정 단어 및 표현들이 있는데요. 보통 지원자의 역량이나 지원자가 그동안 쌓아온
gaemimango1225.tistory.com
'개미망고와 영어 배우기 >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은 영어로 어떻게 써야 할까? (thesis, dissertation, treatise의 차이) (0) | 2022.07.23 |
---|---|
Possibly와 Probably의 차이 (0) | 2022.07.10 |
크몽, 오투잡,플리토, 네이버 엑스퍼트 영한/한영 번역가 Emily (논문(초록), 이력서, 자소서, 입학 에세이, 생활기록부 번역) (0) | 2022.03.07 |
재능 판매 플랫폼 '크몽' 번역가로 일하는 에밀리! (0) | 2021.01.04 |
내가 제일 반기는 번역, '논문초록 & 자소서' (0) | 2020.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