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번역가 Emily입니다.
이력서를 영문으로 번역할 때는 자주 보게 되는,
그리고 자주 사용하게 되는 특정 단어 및 표현들이 있는데요.
보통 지원자의 역량이나 지원자가 그동안 쌓아온 커리어 및 업무에 대한 설명이 주가 되다 보니
능력과 관련된 긍정적 의미의 용어들, 무언가를 '실행했다' 무언가를 '이루어냈다'
이러한 성과적인 용어들이 많이 등장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단어들을 영어로 번역 시
어떠한 단어를 사용하면 좋을 지에 대해 간략히 정리하며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아래의 리스트를 통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Experience: 경력
Skills: 기술, 역량
Achievements: 성취, 업적
Education: 학력
Qualifications: 자격증, 취득 자격
References: 추천서, 참조인
Proficient: 숙달된, 능숙한
Fluent: 유창한
Excellent: 우수한
Detail-oriented: 세부적인 것에 주의하는
Team player: 팀워크가 잘 되는, 협력적인
Analytical: 분석적인
Problem-solving: 문제 해결 능력
Communication: 의사소통 능력
Leadership: 리더십, 지도력
Time management: 시간 관리 능력
Initiative: 적극성, 주도성
Adaptability: 적응성
Interpersonal skills: 대인관계 능력
Result-driven: 결과 중심적인
이외에도 이력서 작성 시 도움이 되는 유용한 표현(동사) 및 어구들이 있습니다.
*이력서 작성 시에는 동사의 시제를 보통 '과거형'으로 쓰기에
과거형으로 모두 작성해봅니다.
Responsible for: ~을 책임지다
Managed: 관리하다
Developed: 개발하다
Coordinated: 조정하다
Conducted: 실시하다
Implemented: 시행하다
Organized: 조직하다
Improved: 개선하다
Collaborated with: ~와 협력하다
Initiated: 시작하다
Led: 이끌다
Facilitated: 원활하게 하다
Negotiated: 협상하다
Communicated with: ~와 의사소통하다
Presented: 발표하다
Analyzed: 분석하다
Resolved: 해결하다
Optimized: 최적화하다
Reviewed: 검토하다
Trained: 교육하다
Strong knowledge of: ~에 대한 강력한 지식
Expertise in: ~에 대한 전문 지식
Extensive experience in: ~에 대한 광범위한 경험
Proven track record in: ~에서 입증된 성과 기록
Consistently met or exceeded targets: 목표를 지속적으로 충족 또는 초과함
Successfully completed: 성공적으로 완료함
Contributed to: ~에 기여함
Implemented strategies to: ~을 위한 전략을 실행함
Managed projects involving: ~를 포함하는 프로젝트를 관리함
Conducted research into: ~에 대한 연구를 실시함
Utilized strong analytical skills to: 강력한 분석 능력을 활용하여 ~함
Demonstrated excellent communication skills: 우수한 의사소통 능력을 나타냄
Led cross-functional teams: 크로스 기능적 팀을 이끌었음
Built strong relationships with: ~와 강력한 관계를 구축함
Initiated and implemented process improvements: 프로세스 개선을 시작하고 실행함
Developed and delivered presentations: 발표 자료를 개발하고 제공함
Negotiated contracts with: ~와 계약 협상을 함
Consistently delivered high-quality work: 지속적으로 고품질의 작업을 제공함
Adapted quickly to new environments: 새로운 환경에 빠르게 적응함
Mentored and trained team members: 팀원들에게 멘토링하고 교육함
이러한 표현들은 이력서 작성시 도움이 되는 예시들일 뿐,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력서 작성시 지원하는 회사나 분야에 따라 적합한 표현을 사용해야 하며,
적절한 어휘와 표현을 사용하여
자신의 경력과 능력을 효과적으로 어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
'개미망고와 영어 배우기 >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 영문 번역 시 용어 정리 (0) | 2025.02.09 |
---|---|
Resume(레주메)와 CV(Curriculum Vitae)의 차이는 무엇일까? (작성 시 유의점) (0) | 2023.05.04 |
한국어>영어 논문 번역 시 유의점 (0) | 2023.04.14 |
제목의 단어들을 대문자로 쓸 때의 규칙 (Title Capitalization Rules) (0) | 2022.08.17 |
such as 앞에 쉼표(콤마), 써야 할까 말아야 할까? (0) | 2022.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