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Emily입니다.

 

오늘은 계좌정보통합관리 서비스를 통해 계좌를 일괄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는 내가 보유한 금융정보를 한눈에 조회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로

계좌를 일괄 조회하여, 오랫동안 거래가 없고 잔고가 소액인 비활동성계좌는 즉시 해지 및 잔고 이전을 

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금융결제원이 구축 및 운영하고 있는 시스템으로

모든 은행에 개설된 본인 명의 계좌를 실시간으로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답니다.

모바일(스마트폰)에서도 별도 앱을 깔아 위에 나열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대상: 은행에 개설된 계좌를 보유한 개인 (만 19세 이상 내국인)

대상계좌: 수시입출금예금, 정기 예/적금, 신탁, 당좌예금, 외화예금

계좌유형: 활동성계좌와 비활동성계좌로 구분

제공 서비스: 계좌조회, 계좌해지 및 잔고 이전 

 


1. 계좌정보통합관리 서비스 홈페이지 접속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약간 하단에 "내계좌한눈에" 라는 항목이 있는데 

이것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2. "내계좌 한눈에" 클릭 -> 개인정보 수집 이용동의 후 로그인 

 

로그인을 할 때, 공인인증서/금융인증서를 통해 로그인하시면 되는데요.

저는 금융인증서를 통해 로그인하였어요. 

절차가 복잡하지 않으며, 인증서만 있으면 5분 이내로 끝납니다. 

반응형

3. 계좌 확인 

아니, 세상에 특템이다! 

제가 모르고 있던 은행 계좌가 있었지 뭐예요. 캬오-

그것도 1993년에 개설된 계좌가...

무려.... 3,700원이나 있었답니다. 

 

계좌해지와 잔고이전을 하려고 했는데,

해당 은행의 계좌는 어째서인지 해지나 이전이 안되더라구요.

아마도 은행에 가야 할 듯 싶어요. 

 


 

[참고사항]

 

- 계좌해지 및 잔고이전은 1년 이상 입출금 거래가 없거나

만기 후 1년이 경과한 비활동성계좌 중 

잔고가 100만원 이하인 경우에 한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한도대출약정계좌, 세금우대상품, 청약저축, 주택청약종합저축, 당좌예금 등

일부 계좌는 항상 활동성 계좌로 분류가 됩니다.

 

- 외화예금잔고는 조회일의 1회차 기준환율(매매기준율) 적용 후 원화로 표시됩니다.

 

- 펀드수익률은 각 은행에서 제공하는 수익률로 표기됩니다.

일부 은행은 펀드 수익률이 표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