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란?
음력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 명절날, 조상 생일 등에 간단히 지내는 제사
원래 다례(茶禮)라고 하여 문자 그대로 다(茶)를 행할 때의 모든 예의범절을 뜻하는 말이었으나, 지금은 다례라 하면 옛날 궁중의 다례나 불교의 다례 등을 뜻하는 말이고, 차례는 명절에 지내는 속절제(俗節祭)를 가리킴
대개 정월 초하룻날과 추석에만 지내는 것이 관례가 됨
차례상과 제사상의 차이
일반적인 제사의 종류는 기제, 묘제, 차례가 있습니다.
기제는 조상이 돌아가신 기일에 모시는 제사이며,
묘제는 조상의 산소에서 지내는 제사입니다.
차례는 여러 제사 종류 중 약식 제사를 의미하며,
명절이 왔음을 조상에게 알리는 제사입니다.
조상을 위해서 지내는 예식인 것 맡지만,
정확한 의미는 다르기 때문에 상차림에 차이가 있습니다.
차례상에는 명절에 만드는 음식을 함께 추가하기도 합니다.
추석에는 송편을, 설날에는 떡국을 차례상에 올립니다.
또한, 차례는 해가 떠있는 아침 혹은 낮에 지내며, 일반적인 제사인 기제는 밤에 지냅니다.
전통 차례상 차리는 법
[紅東白西:홍동백서]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색 과일은 서쪽으로 놓는다.
[棗栗梨枾:조율이시] 좌측부터 대추, 밤, 배, 감의 순서로 올린다.
[生東熟西:생동숙서] 김치는 동쪽에, 나물은 서쪽에 놓는다.
[左脯右醯:좌포우혜] 포는 좌측에, 식혜, 젓갈류는 오른쪽에 놓는다.
[魚東肉西:어동육서] 생선은 동쪽(앞에서 보아 우측)에, 육류는 서쪽에 놓는다.
[頭東尾西:두동미서] 생선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다.
[乾左濕右:건좌습우] 마른 것은 왼쪽에, 젖은 것은 오른쪽에 놓는다.
[接東盞西:접동잔서] 접시는 동쪽에, 잔은 서쪽에 놓는다.
[右飯左羹:우반좌갱] 메(제삿밥)는 오른쪽에, 국은 왼쪽에 놓는다.
[男左女右:남좌여우] 제상의 왼쪽은 남자, 오른쪽은 여자
1열은 접, 잔반(술잔, 받침대)을 놓고 떡국을 올리고,
2열에는 어동육서로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으로 올린다. 두동미서는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을 뜻한다.
3열은 생선, 두부, 고기탕 등의 탕류를 놓고
4열은 좌포우혜로 좌측 끝에는 포, 우측 끝에는 식혜를 올린다.
5열은 조율이시로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순서로 홍동백서는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를 뜻한다.
더불어 차례상 준비 시 유의할 점은 복숭아와 삼치, 갈치, 꽁치 등 끝에 `치`자가 든 것은 쓰지 않고
고추가루와 마늘 양념을 사용하지 않는다.
또 붉은 팥 대신 흰 고물을 써야 한다.
한편, 유교의 본산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성균관)의 최영갑 위원장은 지난 2022년 9월,
‘대국민 차례 간소화 기자회견’에서 ‘차례상 표준안’을 발표했는데
"차례상엔 술과 과일을 포함해 9가지만 놓아도 충분하다"고 하였는데요.
이는 조상을 잘 모시려면 더 많은 가짓수의, 더 좋은 음식을 상에 올려야 한다는 통념이 깨는 발언이었습니다.
그가 내놓은 9가지 음식이 차려진 가상의 차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더 파격적인 내용은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을 올리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었습니다.
명절마다 전 부치는 수고를 덜어도 된다는 의미죠.
성균관은 “과거 기름이 귀했던 시기에 고급 음식으로 여겨진 전이 차례상에 올라간 것으로 추정한다.
유교 문헌에는 등장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과일도 편히 놓으라고 합니다.
예법에 대해 다룬 문헌엔 ‘홍동백서’ ‘조율이시’라는 표현은 없다고 하고요.
"사람들이 차례상에 놓을 음식 순서를 쉽게 외우기 위해 나름의 공식을 만들었던 것이 마치 정설처럼 됐다"
는 것이 성균관 측의 설명입니다.
차례 절하는 법
남자의 큰절 방법
1. 공수(남자는 왼손이 위로가게 포개 잡는 것)하고 어른을 향해 선다.
2. 공수한 손을 눈높이까지 올렸다가 내리면서 허리를 굽혀 공수한 손을 바닥에 짚는다.
3.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꿇어 엉덩이를 깊이 내려앉는다.
4.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를 공수한 손등 가까이에 댄다. 이때 엉덩이가 들리면 안 된다.
5. 공손함이 드러나도록 잠시 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펴고, 오른쪽 무릎을 세워 공수한 손을 바닥에서 떼어 오른쪽 무릎 위를 짚고 일어난다.
6. 공수한 손을 눈높이까지 올렸다가 내린 후 묵례한다.
여자의 큰절 방법
1. 공수한 손(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게 포개 잡는 것)을 들어 어깨높이만큼 올리고 시선은 손등을 본다.
2.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가지런히 꿇은 다음 엉덩이를 깊이 내려앉는다.
3. 윗몸을 45°쯤 앞으로 굽힌 다음 잠시 머물러 있다가 윗몸을 일으킨다. 머리를 깊이 숙이지 못하는 이유는 머리 장식 때문이다.
4.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우고 일어나 두 발을 모은 후 올렸던 두 손을 내려 공수한 후 가볍게 례한다.
'개미망고의 일상 > 일상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절기에 관하여 (24절기의 유래, 구성, 역사 등) (0) | 2024.02.12 |
---|---|
정월대보름이란? (정월대보름 날짜, 풍속, 음식 등) (2) | 2024.02.12 |
[홈택스] 사업자 등록증 재발급(출력) 방법 (1) | 2024.01.30 |
번역 공증 및 대행에 관하여 (공증의 뜻, 공증 대행 방법 등) (1) | 2024.01.22 |
온라인을 통한 여권 재발급 방법 안내 & 여권 수수료 & 종전 일반여권과 차세대 일반여권의 차이 (0) | 2023.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