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국공립대학교 리스트 (소재지, 1학기 평균 등록금 정보 포함)
대학명 | 학소재지 | 1학기 평균 등록금 (원) |
서울대학교 (국립) | 서울특별시 | 3,005,860 |
서울시립대학교 (공립) | 서울특별시 | 1,198,000 |
서울교육대학교 (국립) | 서울특별시 | 1,712,000 |
부산대학교 | 부산광역시 | 2,232,408 |
경북대학교 | 대구광역시 | 2,249,921 |
전남대학교 | 광주광역시 | 2,083,844 |
충남대학교 | 대전광역시 | 2,182,484 |
강원대학교 | 강원특별자치도 | 2,051,464 |
충북대학교 | 충청북도 | 2,144,833 |
전북대학교 | 전라북도 | 2,215,863 |
경상국립대학교 | 경상남도 | 2,037,939 |
제주대학교 (공립) | 제주특별자치도 | 1,988,666 |
한국교원대학교 | 충청북도 | 1,589,687 |
한국해양대학교 | 부산광역시 | 1,861,806 |
금오공과대학교 | 경상북도 | 1,882,819 |
공주대학교 | 충청남도 | 1,914,158 |
목포대학교 | 전라남도 | 1,943,586 |
순천대학교 | 전라남도 | 1,975,706 |
안동대학교 | 경상북도 | 1,874,464 |
창원대학교 | 경상남도 | 1,938,405 |
한밭대학교 | 대전광역시 | 2,235,517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서울특별시 | 2,732,688 |
인천대학교 | 인천광역시 | 2,316,060 |
부경대학교 | 부산광역시 | 2,017,765 |
강릉원주대학교 (공립) | 강원특별자치도 | 2,126,637 |
군산대학교 | 전라북도 | 1,959,142 |
한국체육대학교 | 서울특별시 | 1,929,933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서울특별시 | 380,485 |
춘천교육대학교 (공립) | 강원도 춘천시 | 1,656,500 |
공주교육대학교 (공립) | 충청남도 공주시 | 1,712,000 |
대구교육대학교 (공립) | 대구광역시 남구 | 1,712,000 |
부산교육대학교 (공립) | 부산광역시 연제구 | 1,712,000 |
청추교육대학교 (공립) | 충청북도 청주시 | 1,712,000 |
전주교육대학교 (공립) | 전라북도 전주시 | 1,712,000 |
진주교육대학교 (공립) | 경상남도 진주시 | 1,712,000 |
광주교육대학교 (공립) | 광주광역시 북구 | 1,712,000 |
참고: 상기 등록금은 2023년 기준이며, 학과 및 계열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국립대학이란?
-국가가 설립 및 운영을 담당하는 대학
-대한민국의 국립대학은 「고등교육법」과 「국립학교설치령」에 근거해 설립되며 대개 대한민국 교육부 관할
-개별법령으로 설립된 대학은 설립근거와 관할 부처가 다를 수 있음. 정부의 주도로 설립했더라도 특별법이나 시행령 근거가 없고 법인으로 설립된 대학이면 법적으로 사립대학이며,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고등교육기관은 공립대학이 됨
국립대학의 특징
총장의 대우
국립대학법인이 아닌 국립대 총장들은 학교의 규모와 특성에 따라 장관급에서 1급(관리관) 수준의 예우를 받으며, 주요 국립 종합대학의 총장은 장관에 준하는 대우를 받는다. 의전서열 상으로는 서울특별시장을 제외한 광역자치단체장보다 높지만, 실질적인 권한은 장관급에 미치지 않는다.
과거 의전 예우
70~80년대에는 국립대 총장들이 직할시장, 도지사, 교육감보다 높은 예우를 받았으며, 차량번호에서도 우선권이 주어졌다. 당시 국립대 총장은 군사정권 하에서 군 장성 출신들이 임명되었던 영향으로 높은 영향력을 가졌었다.
부설학교의 위치
국립대학의 부설학교는 국립학교로 분류된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학교들(서울사대부초, 서울사대부중, 서울사대부여중, 서울사대부고)과 각 교육대학의 부설 초등학교가 이에 해당한다. 교직원들은 공무원 신분이 아니며 사학연금을 받는다.
입학 방식과 인기
국립대학 부설 초등학교는 공립초등학교와 달리 사립초등학교처럼 신청과 추첨을 통해 신입생을 선발하고, 대부분 교복을 착용한다. 교육 수준이 높고 학비가 없어 학부모들에게 인기가 높다.
국공립대학교의 연간/4년 총 등록금
연간 등록금: 약 4,000,000원 ~ 7,000,000원
4년 총 등록금: 약 16,000,000원 ~ 28,000,000원
이 금액 외에도 생활비, 교재비, 기타 학교 행사나 활동 비용이 추가로 들 수 있다. 생활비는 학생의 생활 방식과 거주 지역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는 월평균 1,000,000원 이상이 소요될 수 있다.
국공립대학교의 장점
- 등록금 비용: 국공립대학교는 사립대학교에 비해 등록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이는 학비 부담을 줄이고 더 많은 학생들에게 고등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한다.
- 정부 지원: 국공립대학교는 정부로부터 안정적인 재정 지원을 받기 때문에 다양한 학문 분야에 걸쳐 폭넓은 교육과 연구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 학문적 자유도: 국공립대학은 학문적 독립성과 자유를 중시하며, 연구 및 교육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환경을 제공한다.
- 시설과 자원: 대규모 정부 투자 덕분에 실험실, 도서관, 스포츠 시설 등의 교육 및 연구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다.
- 국제적 연계와 협력: 정부 지원 하에 다양한 국제 교류 프로그램 및 연구 프로젝트를 운영, 국제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 상대적으로 건전한 재정: 국립대는 등록금이 상대적으로 합리적이기에, 등록금이 재정 대부분을 차지하는 사립대와 다르게 국가재정 지원의 비중이 높다. 특히 등록금 + 지원금으로 귀결되는 1인당 교육비가 사립대에 비해 등록금이 절반 수준으로 낮다보니 지원을 많이 받더라도 1인당 교육비를 높이기 어려운 기현상이 발생했었다. 하지만 2020년대에는 사립대학교의 등록금이 동결되고 정부 지원도 늘지 않게 됨에 따라 1인당 교육비에 변화가 없는 반면, 국립대학은 애초부터 정부의 지원 비중이 높았던데다가 정부의 국립대 육성 정책으로 정부 지원이 늘어남에따라 현재 사립대학보다 훨씬 높은 평균 1인당 교육비를 보유하고 있다.
- 종교적 갈등에서 자유로움: 종립대학이나 미션스쿨에서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채플은 매번 종교의 자유 문제 때문에 논란이 되곤 한다. 중고등학교의 경우 '종교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판결이 법정에서 있었고 대학교의 경우 '본인이 선택하는 것이라 종교의 자유를 침해하였다고 할 수는 없다'는 판결이 존재하고 있으나 최근에 인권위에서 채플 수업을 강제하지 말라는 지침이 내려지는 등 채플은 여전히 논란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제도로 있다. 국립대는 특정 종교가 운영하는 대학이 아니기에 이러한 종교갈등에서 자유롭다.
국공립대학교의 단점
- 자원의 한계: 정부 예산의 제약으로 인해 때때로 시설 유지보수나 최신 기술 도입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 입학 경쟁률: 저렴한 등록금과 안정적인 교육 환경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지원하며 입학 경쟁률이 매우 높다.
-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 제한: 정부 방침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립대학보다는 다소 보수적인 교육 커리큘럼을 운영할 수 있다.
- 행정 절차의 복잡성: 공공 기관인 만큼 행정 절차가 복잡하고 느릴 수 있으며, 때로는 이러한 절차가 교육 및 연구 활동에 방해가 될 수 있다.
- 지역적 한계: 대부분의 국공립대학이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있어, 지역적으로 선택의 폭이 좁을 수 있다.
국립대학교와 공립대학교의 차이
모두 공공 자금으로 운영되는 학교이지만, 자금을 조달하는 주체와 설립 목적에서 차이가 있다.
국립대학교: 국립대학교는 **국가(정부)**에서 설립하고 운영하는 대학교이다. 교육부에서 예산을 지원하며, 교육 정책에 따라 교육을 제공하고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주요 목적다. 서울대학교, 부산대학교, 경북대학교 등이 대표적인 국립대학교이다.
공립대학교: 공립대학교는 **지방자치단체(시·도)**에서 설립하고 운영하는 대학교이다. 지역 사회의 인재 육성과 지역 발전을 목표로 운영되며, 해당 지역의 지원을 받는다. 대표적으로 서울시립대학교와 강릉원주대학교 등이 공립대학교로 분류된다.
요약하자면 국립대학교는 국가에서, 공립대학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주로 운영 및 지원한다는 차이가 있다.
정부가 설립했으나 사립대학인 경우
고용노동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 ICT폴리텍대학
산업통상자원부 한국공학대학교,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개미망고의 일상 > 교육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소재 여자 대학 목록 (이화여대, 동덕여대, 서울여대, 성신여대 외) (2) | 2024.11.11 |
---|---|
서울 소재 전문대학교 총정리 (소재지, 학과 종류, 1학기 학비, 특징) (12) | 2024.11.11 |
서울 소재 대학교 총 정리 (소재지, 설립 유형, 1학기 학비) (0) | 2024.11.08 |
2025 수능 일정 (수능 날짜, 유의 사항, 수능 성적 통지일 및 기타) (11) | 2024.10.02 |
국내 소재 국제학교의 종류 및 외국인학교와의 차이 (0) | 2024.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