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대학

교명 캠퍼스 소재지 설립유형 비고  등록금/1학기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
성의교정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립 경기도 소재, 이원화 캠퍼스 436만
강서대학교   서울특별시 강서구  사립 舊 그리스도대학교 정보 없음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서울특별시 광진구  사립 본교 414만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사립 이원화캠퍼스 412만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사립 이원화캠퍼스 400만
고려대학교 서울캠퍼스 서울특별시 성북구 사립 본교 416만
광운대학교   서울특별시 노원구 사립   394만
국민대학교   서울특별시 성북구  사립   399만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서울특별시 중구  사립 본교 400만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사립 경기도 소재, 이원화 캠퍼스 458만
삼육대학교   서울특별시 노원구 사립   392만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립 이원화 캠퍼스 389만
서강대학교   서울특별시 마포구  사립   400만
서경대학교   서울특별시 성북구  사립   398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특별시 노원구 국립   273만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연건캠퍼스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   301만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공립   120만
서울한영대학교   서울특별시 구로구  사립   정보 없음
성공회대학교   서울특별시 구로구  사립   350만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캠퍼스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립 이원화 캠퍼스 422만
세종대학교   서울특별시 광진구  사립   397만
숭실대학교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립   399만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사립 본교(송도-레지던스 캠퍼스) 460만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립 이원화 캠퍼스 399만
총신대학교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립   정보없음
추계예술대학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사립   439만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사립 이원화 캠퍼스 400만
한국체육대학교   서울 송파구 사립   300만
한성대학교   서울특별시 성북구  사립   389만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서울특별시 성동구 사립 본교 427만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서울특별시 마포구 사립 이원화 캠퍼스 419만

 

국립, 공립, 사립의 차이? 

국립 대학교

운영 주체: 중앙정부에서 운영
재정 지원: 국가 예산으로 운영되며, 재정의 많은 부분이 정부 지원을 통해 충당
예시: 서울대학교, 부산대학교 등
일반적으로 입학 경쟁률이 높으며, 상대적으로 등록금이 저렴한 편

공립 대학교

운영 주체: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합
재정 지원: 지자체의 예산으로 운영되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음
예시: 서울시립대학교 등
국립 대학과 마찬가지로 등록금이 저렴한 편이며, 해당 지역 학생들에게 혜택이 있을 수 있음

사립 대학교

운영 주체: 민간 재단이나 종교 단체 등에서 운영
재정 지원: 운영비는 주로 학생들의 등록금과 민간 기부금으로 충당. 정부 지원이 적은 편
예시: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등
국립/공립에 비해 등록금이 높은 편이며, 학교마다 특성화된 교육 프로그램이나 다양한 지원 제도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음
이원화 캠퍼스란? 

하나의 대학교가 두 개 이상의 캠퍼스를 운영하면서 각 캠퍼스에 서로 다른 학과나 전공을 배치해 운영하는 시스템. 주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과 지방에 각각 캠퍼스를 두는 방식으로 이루어짐
이원화 캠퍼스와 본교-분교 방식의 차이? 

이원화 캠퍼스

동등한 지위: 두 개 이상의 캠퍼스가 하나의 대학교 체제 안에서 동등한 지위로 운영. 즉, 본교와 분교로 구분하지 않고 모두 본교로 간주
학위 수여: 졸업 시 하나의 대학교 이름으로 학위를 받음. 예를 들어, 연세대학교 신촌 캠퍼스와 송도 캠퍼스 모두 "연세대학교" 학위를 수여
운영 방식: 학과나 전공이 캠퍼스별로 나뉘어 운영되지만, 같은 대학교 소속이라는 점에서 학사 정책과 관리가 통합

본교-분교 체제

본교와 분교의 위계: 본교가 중심이 되며, 분교는 본교의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 일반적으로 본교에 비해 분교는 독립성이 낮고, 학과 운영이나 학사 정책에서 본교의 지침을 따르는 경우가 많음.
학위 수여: 졸업 시 분교의 이름이 따로 표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대학교 B캠퍼스"와 같이 분교 명칭이 학위에 포함될 수 있음
운영 방식: 분교는 본교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기도 하지만, 본교의 관리와 지시를 받는 경우가 많아 학사 운영에서 차별이 생길 수 있음

요약하면

이원화 캠퍼스: 하나의 대학교로 통합 운영, 캠퍼스가 다르더라도 학위에 차별 없이 동일한 대학교 이름이 사용됨.
본교-분교: 본교 중심의 체제, 분교 학위에 분교 명칭이 표기될 수 있으며, 독립적인 학사 운영보다는 본교 지시에 따름.

 

교육대학

교명 캠퍼스 소재지 설립유형 비고 등록금/1학기
서울교육대학교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국립   200만

 

여자대학

교명 캠퍼스 소재지 설립유형 비고 등록금/1학기
덕성여자대학교 쌍문캠퍼스
종로캠퍼스
서울 도봉
서울 종로
사립 이원화 캠퍼스 350만
동덕여자대학교   서울 성북 사립   360만
서울여자대학교   서울 노원 사립   370만
성신여자대학교 수정캠퍼스
운정그린캠퍼스
서울 성북
서울 강북
사립 이원화 캠퍼스 380만
숙명여자대학교   서울 용산 사립   390만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서대문 사립   400만

 

신학대학

교명 캠퍼스 소재지 설립유형 비고 등록금/1학기
감리교신학대학교   서울 서대문 사립 신학대학 350만
서울기독대학교   서울 은평 사립 신학대학 300만
장로회신대학교   서울 광진 사립 신학대학 350만
한국성서대학교   서울 노원 사립 신학대학 320만

 

전문대학

교명 캠퍼스 소재지 설립유형 비고 한 학기 등록금 (평균)
동양미래대학교   서울 구로 사립 2-3-4년제 전문대학 250만
명지전문대학   서울 서대문 사립 2-3-4년제 전문대학 280만
삼육보건대학교   서울 동대문 사립 2-3-4년제 전문대학 300만
서일대학교   서울 중랑 사립 2-3-4년제 전문대학 270만
인덕대학교   서울 노원 사립 2-3-4년제 전문대학 290만

 

여자전문대학

교명 캠퍼스 소재지 설립유형 비고 등록금/1학기
배화여자대학교   서울 종로 사립 2-3-4년제 전문대학 260만
서울여자간호대학교   서울 서대문 사립 2-3-4년제 전문대학 320만
숭의여자대학교   서울 중구 사립 2-3-4년제 전문대학 270만
한양여자대학교   서울 성동 사립 2-3-4년제 전문대학 280

 

기능대학

교명 캠퍼스 소재지 설립유형 비고 등록금/1학기
한국폴리텍대학 서울정수캠퍼스
서울강서캠퍼스
서울 용산
서울 강서
사립 2-3-4년제 기능대학 130만

 

기능대학이란?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기능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된 특성화된 고등교육기관. 주로 실무 중심의 교육을 통해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과 능력을 갖춘 인재를 배출하는 것이 목적

 

전공대학

교명 캠퍼스 소재지 설립유형 비고 등록금/1학기
국제예술대학교   서울 강남 사립 2년제 전공대학 250만
백석예술대학교   서울 서초 사립 2년제 전공대학 210만
정화예술대학교   서울 중구 사립 2년제 전공대학 230만

 

사관학교

교명 캠퍼스 소재지 설립유형 비고 등록금/1학기
육군사관학교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 국립 군사학교 전액 국비 지원 
육군사관학교의 학비가 무료인 이유? 

육군사관학교의 학비가 무료인 이유는 해당 학교가 군사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이기 때문. 육군사관학교는 군 officers, 즉 장교를 양성하는 곳으로, 졸업 후 군에 입대해 국가에 봉사하는 의무가 있다.
학비는 국가가 부담하는 대신, 졸업생은 일정 기간 동안 군 복무를 해야 하며, 이를 통해 국가 안보를 위해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고 유지하는 시스템이다. 즉, 국가가 투자하는 교육비용에 대한 보상으로, 졸업생은 군에서 근무하면서 그 비용을 상환하는 형태가 된다.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m/316

 

국내 소재 국제학교의 종류 및 외국인학교와의 차이

대한민국에는 다양한 국제학교가 위치해 있습니다.  다국적 학생들과 교사들이 소속되는 국제교육기관으로 해외 국가에 거주하는 주재원의 외국인 자녀들이나 표준화된 국제교육 커리큘럼을

gaemimango1225.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