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대학
교명 | 캠퍼스 | 소재지 | 설립유형 | 비고 | 등록금/1학기 |
가톨릭대학교 | 성신교정 성의교정 |
서울특별시 종로구 | 사립 | 경기도 소재, 이원화 캠퍼스 | 436만 |
강서대학교 | 서울특별시 강서구 | 사립 | 舊 그리스도대학교 | 정보 없음 | |
건국대학교 | 서울캠퍼스 | 서울특별시 광진구 | 사립 | 본교 | 414만 |
경기대학교 | 서울캠퍼스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사립 | 이원화캠퍼스 | 412만 |
경희대학교 | 서울캠퍼스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사립 | 이원화캠퍼스 | 400만 |
고려대학교 | 서울캠퍼스 | 서울특별시 성북구 | 사립 | 본교 | 416만 |
광운대학교 | 서울특별시 노원구 | 사립 | 394만 | ||
국민대학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사립 | 399만 | ||
동국대학교 | 서울캠퍼스 | 서울특별시 중구 | 사립 | 본교 | 400만 |
명지대학교 | 인문캠퍼스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사립 | 경기도 소재, 이원화 캠퍼스 | 458만 |
삼육대학교 | 서울특별시 노원구 | 사립 | 392만 | ||
상명대학교 | 서울캠퍼스 | 서울특별시 종로구 | 사립 | 이원화 캠퍼스 | 389만 |
서강대학교 | 서울특별시 마포구 | 사립 | 400만 | ||
서경대학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사립 | 398만 |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서울특별시 노원구 | 국립 | 273만 | ||
서울대학교 | 관악캠퍼스 연건캠퍼스 |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울특별시 종로구 |
국립 | 301만 | |
서울시립대학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공립 | 120만 | ||
서울한영대학교 | 서울특별시 구로구 | 사립 | 정보 없음 | ||
성공회대학교 | 서울특별시 구로구 | 사립 | 350만 | ||
성균관대학교 | 인문사회캠퍼스 | 서울특별시 종로구 | 사립 | 이원화 캠퍼스 | 422만 |
세종대학교 | 서울특별시 광진구 | 사립 | 397만 | ||
숭실대학교 | 서울특별시 동작구 | 사립 | 399만 | ||
연세대학교 | 신촌캠퍼스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사립 | 본교(송도-레지던스 캠퍼스) | 460만 |
중앙대학교 | 서울캠퍼스 | 서울특별시 동작구 | 사립 | 이원화 캠퍼스 | 399만 |
총신대학교 | 서울특별시 동작구 | 사립 | 정보없음 | ||
추계예술대학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사립 | 439만 | ||
한국외국어대학교 | 서울캠퍼스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사립 | 이원화 캠퍼스 | 400만 |
한국체육대학교 | 서울 송파구 | 사립 | 300만 | ||
한성대학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사립 | 389만 | ||
한양대학교 | 서울캠퍼스 | 서울특별시 성동구 | 사립 | 본교 | 427만 |
홍익대학교 | 서울캠퍼스 | 서울특별시 마포구 | 사립 | 이원화 캠퍼스 | 419만 |
국립, 공립, 사립의 차이?
국립 대학교
운영 주체: 중앙정부에서 운영
재정 지원: 국가 예산으로 운영되며, 재정의 많은 부분이 정부 지원을 통해 충당
예시: 서울대학교, 부산대학교 등
일반적으로 입학 경쟁률이 높으며, 상대적으로 등록금이 저렴한 편
공립 대학교
운영 주체: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합
재정 지원: 지자체의 예산으로 운영되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음
예시: 서울시립대학교 등
국립 대학과 마찬가지로 등록금이 저렴한 편이며, 해당 지역 학생들에게 혜택이 있을 수 있음
사립 대학교
운영 주체: 민간 재단이나 종교 단체 등에서 운영
재정 지원: 운영비는 주로 학생들의 등록금과 민간 기부금으로 충당. 정부 지원이 적은 편
예시: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등
국립/공립에 비해 등록금이 높은 편이며, 학교마다 특성화된 교육 프로그램이나 다양한 지원 제도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음
이원화 캠퍼스란?
하나의 대학교가 두 개 이상의 캠퍼스를 운영하면서 각 캠퍼스에 서로 다른 학과나 전공을 배치해 운영하는 시스템. 주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과 지방에 각각 캠퍼스를 두는 방식으로 이루어짐
이원화 캠퍼스와 본교-분교 방식의 차이?
이원화 캠퍼스
동등한 지위: 두 개 이상의 캠퍼스가 하나의 대학교 체제 안에서 동등한 지위로 운영. 즉, 본교와 분교로 구분하지 않고 모두 본교로 간주
학위 수여: 졸업 시 하나의 대학교 이름으로 학위를 받음. 예를 들어, 연세대학교 신촌 캠퍼스와 송도 캠퍼스 모두 "연세대학교" 학위를 수여
운영 방식: 학과나 전공이 캠퍼스별로 나뉘어 운영되지만, 같은 대학교 소속이라는 점에서 학사 정책과 관리가 통합
본교-분교 체제
본교와 분교의 위계: 본교가 중심이 되며, 분교는 본교의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 일반적으로 본교에 비해 분교는 독립성이 낮고, 학과 운영이나 학사 정책에서 본교의 지침을 따르는 경우가 많음.
학위 수여: 졸업 시 분교의 이름이 따로 표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대학교 B캠퍼스"와 같이 분교 명칭이 학위에 포함될 수 있음
운영 방식: 분교는 본교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기도 하지만, 본교의 관리와 지시를 받는 경우가 많아 학사 운영에서 차별이 생길 수 있음
요약하면
이원화 캠퍼스: 하나의 대학교로 통합 운영, 캠퍼스가 다르더라도 학위에 차별 없이 동일한 대학교 이름이 사용됨.
본교-분교: 본교 중심의 체제, 분교 학위에 분교 명칭이 표기될 수 있으며, 독립적인 학사 운영보다는 본교 지시에 따름.
교육대학
교명 | 캠퍼스 | 소재지 | 설립유형 | 비고 | 등록금/1학기 |
서울교육대학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 국립 | 200만 |
여자대학
교명 | 캠퍼스 | 소재지 | 설립유형 | 비고 | 등록금/1학기 |
덕성여자대학교 | 쌍문캠퍼스 종로캠퍼스 |
서울 도봉 서울 종로 |
사립 | 이원화 캠퍼스 | 350만 |
동덕여자대학교 | 서울 성북 | 사립 | 360만 | ||
서울여자대학교 | 서울 노원 | 사립 | 370만 | ||
성신여자대학교 | 수정캠퍼스 운정그린캠퍼스 |
서울 성북 서울 강북 |
사립 | 이원화 캠퍼스 | 380만 |
숙명여자대학교 | 서울 용산 | 사립 | 390만 | ||
이화여자대학교 | 서울 서대문 | 사립 | 400만 |
신학대학
교명 | 캠퍼스 | 소재지 | 설립유형 | 비고 | 등록금/1학기 |
감리교신학대학교 | 서울 서대문 | 사립 | 신학대학 | 350만 | |
서울기독대학교 | 서울 은평 | 사립 | 신학대학 | 300만 | |
장로회신대학교 | 서울 광진 | 사립 | 신학대학 | 350만 | |
한국성서대학교 | 서울 노원 | 사립 | 신학대학 | 320만 |
전문대학
교명 | 캠퍼스 | 소재지 | 설립유형 | 비고 | 한 학기 등록금 (평균) |
동양미래대학교 | 서울 구로 | 사립 | 2-3-4년제 전문대학 | 250만 | |
명지전문대학 | 서울 서대문 | 사립 | 2-3-4년제 전문대학 | 280만 | |
삼육보건대학교 | 서울 동대문 | 사립 | 2-3-4년제 전문대학 | 300만 | |
서일대학교 | 서울 중랑 | 사립 | 2-3-4년제 전문대학 | 270만 | |
인덕대학교 | 서울 노원 | 사립 | 2-3-4년제 전문대학 | 290만 |
여자전문대학
교명 | 캠퍼스 | 소재지 | 설립유형 | 비고 | 등록금/1학기 |
배화여자대학교 | 서울 종로 | 사립 | 2-3-4년제 전문대학 | 260만 | |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서울 서대문 | 사립 | 2-3-4년제 전문대학 | 320만 | |
숭의여자대학교 | 서울 중구 | 사립 | 2-3-4년제 전문대학 | 270만 | |
한양여자대학교 | 서울 성동 | 사립 | 2-3-4년제 전문대학 | 280 |
기능대학
교명 | 캠퍼스 | 소재지 | 설립유형 | 비고 | 등록금/1학기 |
한국폴리텍대학 | 서울정수캠퍼스 서울강서캠퍼스 |
서울 용산 서울 강서 |
사립 | 2-3-4년제 기능대학 | 130만 |
기능대학이란?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기능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된 특성화된 고등교육기관. 주로 실무 중심의 교육을 통해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과 능력을 갖춘 인재를 배출하는 것이 목적
전공대학
교명 | 캠퍼스 | 소재지 | 설립유형 | 비고 | 등록금/1학기 |
국제예술대학교 | 서울 강남 | 사립 | 2년제 전공대학 | 250만 | |
백석예술대학교 | 서울 서초 | 사립 | 2년제 전공대학 | 210만 | |
정화예술대학교 | 서울 중구 | 사립 | 2년제 전공대학 | 230만 |
사관학교
교명 | 캠퍼스 | 소재지 | 설립유형 | 비고 | 등록금/1학기 |
육군사관학교 |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 | 국립 | 군사학교 | 전액 국비 지원 |
육군사관학교의 학비가 무료인 이유?
육군사관학교의 학비가 무료인 이유는 해당 학교가 군사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이기 때문. 육군사관학교는 군 officers, 즉 장교를 양성하는 곳으로, 졸업 후 군에 입대해 국가에 봉사하는 의무가 있다.
학비는 국가가 부담하는 대신, 졸업생은 일정 기간 동안 군 복무를 해야 하며, 이를 통해 국가 안보를 위해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고 유지하는 시스템이다. 즉, 국가가 투자하는 교육비용에 대한 보상으로, 졸업생은 군에서 근무하면서 그 비용을 상환하는 형태가 된다.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m/316
국내 소재 국제학교의 종류 및 외국인학교와의 차이
대한민국에는 다양한 국제학교가 위치해 있습니다. 다국적 학생들과 교사들이 소속되는 국제교육기관으로 해외 국가에 거주하는 주재원의 외국인 자녀들이나 표준화된 국제교육 커리큘럼을
gaemimango1225.tistory.com
반응형
'개미망고의 일상 > 교육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소재 전문대학교 총정리 (소재지, 학과 종류, 1학기 학비, 특징) (12) | 2024.11.11 |
---|---|
국내 국공립대학교 총 정리 (소재지, 1학기 학비, 국공립의 차이, 국공립대학교의 장단점) (3) | 2024.11.09 |
2025 수능 일정 (수능 날짜, 유의 사항, 수능 성적 통지일 및 기타) (11) | 2024.10.02 |
국내 소재 국제학교의 종류 및 외국인학교와의 차이 (0) | 2024.03.07 |
방과후 / 늘봄 / 돌봄의 차이 (2) | 2024.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