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대학교(교대)란?
-교육대학, 줄여서 교대는 초등교사를 양성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목적 대학교이다.
-교육대학의 졸업생에게는 초등 2급 정교사 자격증을 수여하고(1급을 바로 따는 방법은 없고 3년 경력을 쌓고 방학 때 연수를 갔다 오면 1급으로 경신된다), 초등교원임용경쟁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교육대학교(교대)의 특징
초등교원 양성 | 교육대학 졸업자는 초등학교 교사로만 임용 가능하며, 사범대학 출신은 초등교사가 될 수 없다. 2000년대 초반 교사 수급 문제로 일부 중등교사 자격증 소지자가 한시적으로 초등학교 교사로 임용된 바 있다. |
심화과정 | 교육대학의 모든 학과는 초등교육과로, 다양한 과목(국어, 영어, 수학 등)의 심화과정을 선택할 수 있다. 심화과정은 대학원 진학 시 유용할 수 있다. |
교육대학 총장과 사무국장 예우 | 모든 교육대학교 총장은 차관급 예우를 받는다. 유일한 종합교원양성대학인 한국교원대학교 총장은 장관급 예우를 받는다. |
설립 형태 | 교육대학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하는 국립기관이며, 사립 교육대학은 존재하지 않는다. 단, 사립 종합대학에 초등교육과를 둘 수 있다. |
계절제 | 방학 중 2년제 대학 출신 현직 교사들이 추가 교육과정을 이수하여 학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계절제가 있었으나 현재는 사라졌다. |
엄격한 평가제도 | 초등교원임용시험 이후 교육대학은 상대평가로 운영되며, 철저한 학점 비율 제한(A 30% 이하 등)이 적용된다. |
시간표 고정 | 대부분의 전공 과목은 시간표가 고정되어 있으며, 자율적인 시간표 편성이 어렵다. |
여학생 비율 | 여학생이 남학생 비율보다 높다 |
부설초등학교 | 모든 교육대학은 부설초등학교를 운영하며, 국립학교로 신입생을 신청 및 추첨으로 선발하고 무상교육을 제공해 학부모에게 인기가 많다. |
교육대학교(교대) 등록금
국내 교육대학교의 연간 등록금은 약 300만 원에서 400만 원 사이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서울교육대학교의 연간 등록금은 약 308만 8천 원이다. 다른 교육대학교들도 이와 유사한 수준의 등록금을 유지하고 있으며, 국공립 대학으로서의 특성상 사립 대학에 비해 등록금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과거에 교육대학교(교대)였던 곳
군산교육대학교 → 전주교대로 통합(부설학교 동반 이관됨), 현 국립군산대학교
강릉교육대학교 → 춘천교대로 통합, 현 국립강릉원주대학교
마산교육대학교 → 진주교대로 통합, 현 국립창원대학교
목포교육대학교 → 광주교대로 통합(부설학교 동반 이관됨), 현 국립목포대학교
안동교육대학교 → 대구교대로 통합(부설학교 동반 이관됨), 현 국립안동대학교
제주교육대학교 → 2008년 제주대학교와 통합. 현 제주대학교
초등교육과 부산교육대학교 → 2023년 부산대학교와의 통합 확정. 이르면 2025년 통합 신입생 선발 예정
춘천교육대학교 → 2024년 강원대학교, 강원도립대학교와의 통합 추진 중
전국 교육대학교(교대) 현황 (+2025년 입학정원)
설립 | 구분 | 구분 | 지역 | 2025년 입학정원 |
국립 | 교원대 | 한국교원대학교 | 충북 | 98 |
교육대학 | 경인교육대학교 | 인천, 경기 | 526 | |
공주교육대학교 | 충남 | 312 | ||
광주교육대학교 | 광주 | 287 | ||
대구교육대학교 | 대구 | 337 | ||
부산교육대학교 | 부산 | 313 | ||
서울교육대학교 | 서울 | 312 | ||
전주교육대학교 | 전북 | 251 | ||
진주교육대학교 | 경남 | 281 | ||
청주교육대학교 | 충북 | 252 | ||
춘천교육대학교 | 강원 | 282 | ||
제주대학교 | 제주 | 100 | ||
사립 | 이화여자대학교 | 서울 | 39 |
전국에는 국립 교육대학이 10개, 국립 종합대학 내 초등교육과가 2개, 그리고 이화여자대학교 초등교육과(사립)까지 합쳐 총 13개 교육대학이 있다.
2024년 교육대학교(교대)정시 일반전형 경쟁률
대학명 | 최초모집인원 | 수시이월인원 | 최종모집인원 | 경쟁률 | 충원율 |
한국교원대 | 45 | 1 | 46 | 5.76 | 93.5 |
경인교대 | 235 | 105 | 340 | 3.68 | 36.5 |
공주교대 | 149 | 30 | 179 | 2.94 | 12.8 |
광주교대 | 108 | 1 | 109 | 2.71 | 46.8 |
대구교대 | 170 | 9 | 179 | 3.51 | 24.0 |
부산교대 | 158 | 2 | 160 | 3.13 | 31.3 |
서울교대 | 202 | 122 | 324 | 3.23 | 19.1 |
전주교대 | 181 | 69 | 250 | 3.11 | 22.0 |
진주교대 | 140 | 127 | 267 | 2.90 | 12.7 |
청주교대 | 124 | 23 | 147 | 3.41 | 12.9 |
춘천교대 | 130 | 46 | 176 | 3.65 | 미공개 |
이화여대 | 16 | 0 | 16 | 4.38 | 미공개 |
제주대 | 41 | 15 | 56 | 2.95 | 미공개 |
2025년 교육대학교(교대) 정시 모집 정보
면접 실시: 공주교대, 대구교대, 부산교대, 서울교대, 전주교대, 진주교대, 청주교대
수(미/기)가산: 경인교대, 진주교대, 제주대, 한국교원대
과탐2과목 가산: 제주대
2025학년도 교대 정시모집에서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이화여대 초등교육과의 모집군 이동(나군에서 가군)이다. 본래 이화여대는 2021학년도까지 한국교원대와 함께 가군에서 초등교육과를 선발하였으나, 2022학년도부터 나군으로 이동하여 모집을 실시해 왔다. 올해 이화여대가 다시 가군으로 이동함에 따라 교대 정시는 2021학년도 이전과 동일하게 가군에 2개 대학, 나군에 11개 대학이 분포하게 되었다. 이화여대의 군 이동으로 인해 기존 가군 모집단위인 한국교원대(초등교육)는 경쟁률 및 충원율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춘천교대] 정시 지역인재전형 폐지
전체 교대 중 유일하게 정시 지역인재전형(강원교육인재)을 실시했던 춘천교대는 올해부터 해당 전형을 폐지하고, 수시 지역인재전형에서 이월이 발생할 경우에만 정시 지역인재 선발을 실시한다.
[경인교대/서울교대/청주교대/춘천교대] 정시 전형방법 변경 및 수능 최저학력기준 설정
경인교대는 지난해까지 정시에서 단계별 선발을 실시하여 2단계에서 면접을 반영했으나, 올해부터는 수능 100% 일괄 선발로 변경하여 더 이상 면접을 실시하지 않는다. 서울교대와 마찬가지로 영어와 한국사에 한해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설정하여 영어는 3등급 이내, 한국사는 4등급 이내를 충족해야 한다.
청주교대는 기존 단계별 선발을 일괄 선발로 변경하되, 면접을 유지하여 수능 90.9%와 면접 9.1%의 반영비율을 적용한다.
서울교대는 정시 1단계 선발 배수를 기존 2배수에서 1.5배수로 조정한다.
춘천교대는 올해부터 정시에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도입하여, 국수영탐(2과목 평균) 4개 합 16 이내를 충족해야 한다.
2025년 교육대학교(교대) 수시 학생부 교과전형
학교장 추천: 경인교대, 서울교대, 이화여대
면접 실시: 경인교대(비대면), 서울교대, 이화여대
3-2학기까지 교과반영: 경인교대, 제주대, 한국교원대
2025학년도에는 5개 교대에서 전년도보다 124명 감소한 229명을 선발한다. 교대 학생부교과전형은 실시 대학이 적고 모집인원도 많지 않다. 서울교대는 졸업생의 지원이 불가능하며, 경인교대와 이화여대는 학교장 추천이 필요하다. 교과 외에도 면접이 반영되므로 별도의 대비가 요구된다. 이화여대를 제외한 4개 대학 모두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만, 일부를 제외하면 기준은 높지 않은 편이다.
[경인교대]
전년도에 학생부교과전형(학교장추천)을 신설했던 경인교대는 올해 모집 규모를 크게 축소하고, 전형방법을 기존 단계별 선발에서 ‘교과 70%+면접 30%’의 일괄 선발로 변경한다. 수능 최저학력기준도 ‘3개 합 11’에서 ‘12’로 완화한다.
[이화여대]
‘고교추천’ 전형방법을 일괄 선발에서 단계별 선발로 변경하고, 고교별 추천인원은 5%(최대 10명)에서 20명으로 확대한다.
[서울교대]
‘학교장추천’ 전형에서 적용하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4개 합 9’에서 ‘4개 합 10’으로 완화하여 수험생의 부담을 줄인다.
2025년 교육대학교(교대) 수시 학생부 종합전형
1. 교대 학생부종합전형은 2025학년도에 총 1,906명을 선발한다. 이 중 일반전형은 834명, 지역인재전형은 964명이다. 특히 경인교대의 모집인원 증가가 두드러지며, 학생부교과전형 인원의 절반을 학생부종합(교직적성)으로 옮겨 선발한다.
2. 교대는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지역인재 규모가 큰 것이 특징이며, 올해는 전년도보다 51명이 증가하였다. 대구교대는 2025학년도부터 지역인재전형을 대구지역인재(80명)와 경북지역인재(100명)로 세분화하여 선발한다.
3. 올해는 대부분 전년도와 유사한 전형 기조를 유지하면서 일부 교대가 수능 최저학력기준 및 1단계 선발배수를 조정하였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완화한 대학으로는 서울교대 교직인성우수자(4개 합 9→10), 춘천교대 강원교육인재(4개 합 12→14), 전주교대(4개 합 12→15)가 있다. 전주교대는 교직적성우수자의 1단계 선발배수를 2→3배수로, 대구교대(참스승)는 3→5배수로 확대하였다.
4. 교대 학생부종합전형의 핵심은 면접이다. 진주교대, 춘천교대, 이화여대를 제외한 모든 대학이 면접평가를 실시한다. 경인교대는 별도의 대면면접 없이 사전 안내된 제시문에 대한 답변 영상을 녹화해 제출해야 한다. 교대 면접은 대부분 교직인·적성면접에 해당하며, 대학마다 면접 유형과 방식이 다르므로 유의해야 한다.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358
서울 소재 대학교 총 정리 (소재지, 설립 유형, 1학기 학비)
일반대학교명캠퍼스소재지설립유형비고 등록금/1학기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성의교정서울특별시 종로구사립경기도 소재, 이원화 캠퍼스436만강서대학교 서울특별시 강서구 사립舊 그리스
gaemimango1225.tistory.com
'개미망고의 일상 > 교육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범대란? 인서울 사범대 리스트부터 졸업 후 진로까지 완벽 정리 (2) | 2024.11.20 |
---|---|
서울 소재 사립초 리스트, 연간 학비, 순위, 추첨방식, 사립초와 공립초 차이, 사립초 진학 이유 (2) | 2024.11.17 |
2025년 토익 시험 일정 (+응시료, 준비물, 입실시간, 시험시간 등) (8) | 2024.11.14 |
분교가 있는 국내 4년제 대학교 정보 (제2캠퍼스와 분교의 차이) (3) | 2024.11.14 |
서울 소재 대학교 평균 등록금 & 1인당 교육비 (2024년 기준) (1) | 2024.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