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mily 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To부정사, 그 중에서도 [명사]로 사용이 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해요.
사실 To 부정사는, 뭔가 관계대명사처럼
처음 이해하기까지 그 지점이 어렵고
이해하고 나면 진짜 '아하!' 하게 되는...
이해시키기 어렵지만 이해시키고 나면 속이 후련한
그런 뭐랄까, 선생과 제자 둘 모두에게 난제라는 생각이 들어요.
저는 항상 아이들에게 이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일차로 명사가 무엇인지를 우선 짚고 넘어가요.
자, 8품사 중 하나인 명사가 무엇이냐면,
명사(Noun, 名 이름 명, 詞 말 사)
사람, 사물, 장소나 눈에 보이지 않는 것 등의 이름을 가리키는 말.
라고 사전은 정의하고 있어요. (천재학습백과 초등 국어 용어사전)
a word (other than a pronoun) used to identify any of a class of people, places, or things ( common noun ), or to name a particular one of these ( proper noun ).
Oxford Languages
이렇게 까지만 보면 그냥 무엇이든 가리키는 말이구나
싶은데 우리가 해야할 것은
To 부정사(To + 동사원형)가 명사가 된다는 것을 가르쳐야 하는 거라는 말이죠.
자, 1차로 명사가 무엇인지 이해가 되었다면 그럼 이제 이 "부정사" 라는 낯선 용어를 이해시켜줘야해요.
아이들에게 부정사가 뭔지 물으면 열에 여덟은
"부정하는 ...거?"
라고 할 거예요.
여기서 이 부정사란 [정해지지 않음]의 의미를 갖고 있음을 알려야 해요.
무슨 말이냐면, 쉽게 얘기해 To 부정사는 동사의 품사를 명사, 형용사, 그리고 부사로 바꾼다는 건데
이 '부정사' 자리에 어떤 동사든 들어가거든요.
즉, 어떤 동사든 정해지지 않고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죠.
google 이라는 동사는 google이 생겨난 뒤에 만들어졌죠?
이처럼 동사는 계속 만들어지니, 저 안에 들어갈 수 있는 동사는 정해지지 않은 채로
무한대, 무수하다는 것이죠. (제...의견이자 제 끼워맞추기입니다).
자 암튼, 이제 이 To 부정사를 만들고자 한다면 기본적으로 동사가 들어가니
먹는다, 입는다, 본다 이런 단어들을 생각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면 저는 이제 예시로 아이들에게 이런 말도 안되는 질문들을 해요.
"선생님 질문을 활용해서 대답해보세요. 밥을 먹는 것은 중요하니?"
좋은 대답으로
"밥을 먹는 것은 중요해요"
를 꼽을수 있겠네요.
아이들은 "밥을 먹다"와 같은 기본적인 말들을 배워왔으니
이제 이 행위를 아이들이 대답한 것으로 하나의 명사로 만드는 것을 가르쳐 주면 되요. ('~다' '~하는 것/~하기' 로 바꿔주기)
"방금 무엇이 중요하다고 했니?"
라고 물어보면
"밥을 먹는 것이요!"
라고 대답할거에요.
자 그러면 이제 칠판에 (아이들 수준에서 적어봤어요)
Eat rice is important. 그 밑에 "밥을 먹다는 중요하다" 라고 쓴 후
아이들에게 아까 대답한 것과 해석에서 무슨 차이가 있는지 물어보면
"먹는 것" 이라고 할거에요.
이렇게, '먹다' 이 자체로는 쓰일 수 없고 이것이 "~하기" "~하는 것" 이라고 해석이 되어야
올바른 문장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가 바로 이 To 부정사를 [명사]로 쓸 타이밍이라는 것이죠.
그러면 밑에 To부정사가 명사(주어, 목적어, 보어, 의문사+to부정사)가 활용되는 예시들을 봐 볼게요.
*주어* Subject, 主語
To eat rice is important - 밥을 먹는 것은 중요하다.
To play games with friends is fun - 친구들과 게임을 하는 것은 재밌다.
To clean my room everyday is not easy - 내 방을 매일 청소하는 것은 쉽지 않다.
여기서 한가지 더,
to부정사가 주어로 쓰일 때, 주어가 너무 길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가주어(가짜주어) 가목적어(가짜목적어)를 사용한다는 것을 꼭 명시해줘야 합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이런 거죠.
전 날에 조금도 자지 못하고 다음 날 바로 일어났는데 칫솔도 없고 치약도 없어서 제대로 씻지도 못한 채로
출근한다는 것은 지옥이다.
여기서 주어는 어디까지죠?
네, 전날에 ~~ 출근한다는 것은 까지입니다.
이러면 주어가 너무 길죠.
이럴 때 영어에서는 주어를 뒤로 싸악 다 보내버리고
그 앞의 빈 자리에, 뭘 넣을까 뭘 넣을까 고민하다가
짧고, 의미도 다중적이고, 또 의미가 없을 때도 있는 it를 넣어버립니다.
그래서 이걸 가주어라 부르죠.
여기서의 It은 '이것' 혹은 '그것' 이라고 해석되지는 않는다는 점,
알려 주셔야 된답니다.
It is important to eat rice - 밥을 먹는 것은 중요하다.
It is fun to play games with friends - 친구들과 게임을 하는 것은 재밌다.
It is not easy to clean my room everyday - 내 방을 매일 청소하는 것은 쉽지 않다.
목적어로 들어가기에 앞서, 목적어가 무엇인지 한번 확인시켜 주고 가야합니다.
목적어는 우리가 이해하기로 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이 되는 대상을 뜻합니다.
보세요.
I love
이 문장을 보면 뭐가 빠졌죠.
나는 사랑한다.
사랑은 대상이 있죠?
이렇게 행위의 대상이 되는 무언가가 바로 '목적어' 입니다.
I eat
이 문장은 어떤가요?
나는 먹는다
먹을 땐 먹는 무언가가 있죠?
이도 마찬가지에요. 이 빈 자리에 들어가는 것이 바로 목적어이고
이 To 부정사도 이 자리에 들어간다는 거예요.
목적어는 쉽게 말해 해석하면 ~을/를 이라고 간단하게 알려주시면 돼요.
그리고 예문을 통해서 이해시키면 편하답니다.
*목적어* Object, 目的語
I don't want to do homework - 나는 숙제하기를 원하지 않아요.
Do you hope to visit your grandmother this summer? - 너는 이번 여름에 할머니 댁에 방문하는 것을 바라니?
보어는 보통 보충 설명, 보충어, 기움말이라고 표현합니다.
문장 안에서는 "~하는 것(이다)" 이라고 해석됩니다.
즉, A 는 B 다(A = B) 인데, 이 B 자리에 To 부정사가 올 수 있는 거죠.
바로 예시를 봐볼게요.
*보어* complement, 補語
My dream is to have a large house - 내 꿈은 큰 집을 가지는 것이다.
Our goal is to win our rival at the final - 우리의 목표는 결승에서 우리의 라이벌을 이기는 것이다.
예시로 들어가기전 이 표를 한번 아이들에게 보고 가면 좋을 것같아요.
6하원칙 (Why제외)에서 5가지 입니다.
(중학생이라면 6하원칙을 모를리 없기에 6하원칙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What + To 부정사 - 무엇을 ~ 할지 |
Who(m) + To 부정사 - 누가(누구를) ~할지 |
Where + To 부정사 - 어디로(어디서) ~ 할지 |
How + To 부정사 - 어떻게 ~ 할지, ~ 하는 방법 |
When + To 부정사 - 언제 ~ 할지 |
*의문사 + To부정사*
I don't know what to do for my future. - 나는 내 미래를 위해 무엇을 해야할지 모르겠다.
Did you choose whom to invite to your birthday party? - 너는 너의 생파에 누구를 초대할지 정했니?
I need to write down what to say at a graduation ceremony. - 나는 졸업식에서 무슨 말을 해야할지 적어야 한다.
Did our teacher say where to go for the school trip? - 우리 선생님이 수학여행으로 어디로 갈지 얘기했었니?
My mom knows how to take care of baby. - 우리 엄마는 아기를 어떻게 돌봐야 하는지 알고 있어.
여기까지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이였습니다.
제가 긴 내용을 압축시켜서 설명한 것인데
사실 이 To 부정사를 설명할 땓
초반에 1)명사 2)동사 3)주어 4)목적어 5)보어 6)부정사
이 단어를 진짜 제대로 이해를 시켜줘야 설명이 매끄러워진답니다.
'개미망고와 영어 배우기 >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학생이 꼭 알아야하는 영문법(1) - 1형식 (3) | 2024.11.22 |
---|---|
(8) 오늘의 문법 - 영어의 1형식 *초등 & 중 1 문법 (0) | 2023.05.01 |
(6) 오늘의 문법 - 동명사 *중1문법 (0) | 2020.06.23 |
(5) 오늘의 문법 - 현재완료 *중2문법 (1) | 2020.06.23 |
(4) 오늘의 문법 - 분사구문 제 2탄 *중3 문법 (0) | 2020.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