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mily입니다.
온라인 세상에서 제가 가장 두려워하는 홈페이지가 홈택스,
가장 두려워하는 단어가 '인증서'입니다.
오늘은 이 두 단어라 콜라보를 이루어 진행되는 작업,
국민은행에서 전자세금용 인증서 발급 받아 홈택스에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받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방금 전에 완료를 해서 이 기쁨을 어디에라도 나누고파 글을 써봅니다.
저는 사업자인데, 늘 개인 고객들과만 거래를 하는 경우만 있었던 지라
현금영수증 발급만이 익숙했었는데요.
이번에 기업을 통해 번역 업무를 맡게 되었고
해당 업체에서 제게 '세금계산서 발급'이 가능하냐고 묻기에
프로페셔널해보이지 않을까 두려워 저는 재빨리
'면세사업자 세금계산서 발급'이라고 검색을 하였습니다.
사실 너무 안일하고 바보 같았던 게,
사업자를 내고 난 이후에 늘 '계산서 발행이 가능하다'고 외쳐왔지만
막상 계산서 발행은 어떻게 하는지 모른 채로 지내왔던 거죠.
아무튼,
의뢰 업체로부터 '세금계산서 발급 가능 여부'를 묻는 질문을 받고 난 뒤,
면세사업자는 '세금계산서 발급이 불가'하며
'전자계산서 발급만 가능'하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우선 해당 정보의 정확도를 다시 한 번 확인한 뒤 의뢰업체에게
'저는 면세사업자이기에 전자계산서만 발급이 가능합니다' 라고
태연하게 답변을 해주었습니다.
면세사업자란?
사업자가 매출을 일으킬 때 소비자에게 부가가치세를 추가로 걷지 않아도 되는 물건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즉, 사업자에게 세금을 면제해 주는 것이 아니라 사업자에게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세금을 면제해주는 것.
발급이 가능하다고 했으니 이제 진짜 발급을 해야죠?
국민은행으로 부랴부랴 들어가서
전자세금용 인증서 발급을 받기 위한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https://obank.kbstar.com/quics?page=C019647#loading
전자세금용 인증서 ( 인증센터(기업) | 전자세금용 인증서 )
전자세금용 인증서
obank.kbstar.com
위 링크를 통해 들어가서 (기업용입니다)
시키는 대로 정보를 입력하도록 합니다.
아이..디....
아이디.....?
내 국민은행 아이디?
모르겠지만 우선 아이디를 치고
사업자등록번호와 주민등록번호를 모두 입력하고 나니
왜?
내가 뭘 잘못 썼나 싶어서 다시 앞의 화면으로 돌아가
아무리 시도하고 또 시도해보아도 같은 오류창이 뜨더라구요.
같은 결과가 나오면 다른 시도를 하기도 해야 하는데
고집스러운 저는
나는 맞는데 니가 틀렸다는 확신을 바탕으로
계속 같은 시도를 하였고 계속 같은 창이 떴습니다.
주말이라 상담센터도 운영하지 않고 컴퓨터 관련해서는 포기가 빠른 편인 저는
평일에 바로 은행에 가기로 다짐하였습니다.
그리고 월요일이 되자마자 은행으로 달려가
1. 공인인증서 받았다
2. 기업뱅킹 회원이다
3. 시키는 대로 다 정보를 적었는데 자꾸 오류가 뜬다 (오류화면 보여드림)
세 가지를 말씀드렸습니다.
그러자 직원 분께서 몇 번 검색하시고 어디에 전화를 하시고 하더니
명치를 가격하는 답변
"아이디를 잘못 적으셨네요"
아앗...
올바른 아이디만 알았더라도 이런 헛걸음은 하지 않았을텐데!
남다른 남탓하기 스킬을 보유하고 있는 저는
아이디가 잘못 됐다는 창이 떠야지 저렇게 오류 코드만 떠버리면 어떻게 하라는 거야
하고 속으로 국민은행 탓도 해보았습니다.
공인인증서와 모바일 OTP, 이런 단어들이 모두 제 머리를 아프게 해서 저는
창구직원 분께 이 작업을 은행에서 직접 해주실 수 없냐 물었지만
본인이 PC를 통해 직접 해야 한다고 하시기에 저는 어쩔 수 없이
상담이 끝나고 나서 은행을 나가지 않고 대기 의자에 앉아
전자계산서 발행 성공을 하기 전까지는 이 은행 밖을 나가지 않기로 하였습니다.
차근차근히,
처음 시도했을 때 떴던 창에 이번엔 올바른 아이디를 입력하고
사업자 등록번호도 넣고 다 했더니
앗, 성공했습니다ㅠㅠ
4,400원을 결제하기로 하고
공인인증서 저장(?)하는 곳을 택하고 (뭔지 모르니까 하드디스크)
이제 마지막 관문이 남았습니다.
'전자계산서 발급'
전자계산서 발급을 받기 위해서는
홈택스 -> 전자(세금)계산서 현금영수증, 신용카드 ->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 전자(세금)계산서 건별 발급
으로 들어가면 됩니다.
들어가면 로그인을 다시 하고, 간편인증 하고...
저야 익숙해졌지만
이 모든 절차를 대한민국 7-80대 어르신들은 대체 어떻게 하시는 걸까요?
너무해 좀 쉽게 해줘
공급자 정보는 이미 다 입력이 되어 있고,
저는 빨간색으로 처리된 부분들만 기입하면 됩니다.
공급받는 자에 관한 정보는, 업체측에서 받은 내용을 모두 착실히 기입하면 됩니다.
전자계산서 발급은 처음이라,
아래에 날짜와 품목, 공급가액 등은 어떻게 적는지 몰라 또 인터넷으로 찾아보고
답을 얻어내서
(저는 번역 업무이기 때문에, 규격이나 단가 이런 부분들은 적지 않고 그냥
'품목'에 '번역용역'이라고만 기입하였고 공급가액에
의뢰업체로부터 받은 금액을 적었습니다.
그리고 하단에, '현금'으로 비용을 받았기 때문에 '현금'에 해당 금액을 다시 적었습니다.
이건 꿈이 아니죠?
드디어 성공하였습니다.
이 영광을 KB 국민은행 기업뱅킹 상담원 선생님께 돌립니다.
'개미망고의 일상 > 일상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세사업자란? (정의, 조건, 특징) (3) | 2024.05.21 |
---|---|
사업자의 6가지 유형 (법인&개인 / 과세&면세 / 간이&일반) (0) | 2024.05.17 |
손택스 어플로 현금영수증 발급하는 방법 (0) | 2024.05.10 |
한국의 촌수 & 가족/친척 간 호칭에 관하여 (0) | 2024.04.15 |
서울 4대 꽃시장 정보 (양재 꽃시장, 강남터미널 꽃시장, 남대문 대도꽃종합상가, 종로 꽃시장) (0) | 2024.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