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형 간염과 B형 간염은 모두 간에 염증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성 질환이지만,
원인 바이러스, 전염 경로, 질병의 심각성 및 예방 방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A형 간염 (Hepatitis A)
- 원인 바이러스: A형 간염 바이러스 (HAV)
- 전염 경로: 주로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을 통해 전염됩니다. 감염된 사람의 대변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할 때 전염될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은 환경에서 발생합니다.
- 증상: 발열, 피로감, 식욕 감퇴, 메스꺼움, 구토, 복통, 황달(피부와 눈이 노래지는 증상) 등이 있습니다.
- 질병 경과: 대부분의 경우 급성 간염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회복됩니다. 만성화되지 않으며, 간 손상도 보통 영구적이지 않습니다.
- 예방: A형 간염 백신을 통해 예방할 수 있으며, 위생 상태를 철저히 관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B형 간염 (Hepatitis B)
- 원인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HBV)
- 전염 경로: 주로 혈액, 정액, 질 분비물 등 체액을 통해 전염됩니다. 성적 접촉, 감염된 혈액의 수혈, 감염된 바늘 공유, 출산 시 산모로부터 아기에게 전염될 수 있습니다.
- 증상: A형 간염과 비슷하지만, 만성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급성 간염 후에도 바이러스가 체내에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만성 간염, 간경변, 간암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 질병 경과: 급성으로 시작하지만, 일부 환자는 만성 간염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만성 B형 간염은 간경변증 및 간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 예방: B형 간염 백신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 방법입니다. 또한, 안전한 성생활을 유지하고, 혈액을 다룰 때 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형 간염 (Hepatitis C)
- 원인 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HCV)
- 전염 경로: 주로 혈액을 통해 전염됩니다. 감염된 혈액의 수혈, 감염된 바늘 공유, 문신이나 피어싱 등의 의료 절차에서 전염될 수 있습니다. 드물지만 성적 접촉으로도 전염될 수 있습니다.
- 증상: 급성 C형 간염은 대부분 무증상으로 지나가며, 감염된 사람들은 대부분 증상을 느끼지 못합니다. 그러나 만성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만성 간염으로 진행될 경우 피로, 황달, 간부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질병 경과: C형 간염은 70-85%의 경우 만성 간염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만성 C형 간염은 간경변 및 간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 예방: C형 간염 백신은 현재 존재하지 않으며, 예방을 위해서는 감염된 혈액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주사 바늘을 공유하지 않거나 안전한 의료 절차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A형, B형, C형 간염 차이점 요약
- 원인 바이러스:
- A형: A형 간염 바이러스 (HAV)
- B형: B형 간염 바이러스 (HBV)
- C형: C형 간염 바이러스 (HCV)
- 전염 경로:
- A형: 주로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
- B형: 혈액, 정액, 기타 체액 (성적 접촉, 출산, 혈액 공유 등)
- C형: 주로 혈액 (감염된 바늘 공유, 수혈, 의료 절차 등)
- 질병 경과:
- A형: 급성, 만성화되지 않음
- B형: 급성에서 만성으로 발전 가능, 간경변 및 간암 위험
- C형: 대부분 만성화, 간경변 및 간암 위험
- 예방:
- A형: 백신 접종, 위생 관리
- B형: 백신 접종, 안전한 성생활, 혈액 관리
- C형: 백신 없음, 혈액과의 접촉 회피, 안전한 의료 절차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293
성인이 알아야 할 예방접종 8가지 (독감, 폐렴구균, 대상포진 등)
예방접종(Vaccination)이란?우리 몸에 항원을 투여하여 항체를 생기게 함으로써 감염병에 대한 방어능력을 갖게 하는 방법으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질병예방 수단인플루엔자(독감) 백신인플루
gaemimango1225.tistory.com
반응형
'개미망고의 일상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레의 효능 (커큐민, 쿠민, 고수 등 향신료의 효능) (3) | 2024.11.18 |
---|---|
탈모에 관하여 (탈모 원인, 탈모에 좋은 음식, 탈모약 부작용, 탈모 치료법 등) (3) | 2024.11.17 |
황사에 관하여 (황사 발생 원인, 인체에 미치는 영향, 황사와 미세먼지 차이) (0) | 2024.03.23 |
미세먼지란? (미세먼지 뜻, 발생원인, 인체영향, 예방법) (0) | 2024.03.23 |
KF94, KF80, KF-AD 마스크의 차이 / 미세먼지 마스크 고르는 방법 / 미세먼지 대처법 (2) | 2024.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