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범대란? 

 

사범대학, 약칭 사대는 중등교사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대학교의 단과대학이다. 사범대학을 졸업하고 일정 자격을 갖추게 되면 2급 정교사 자격증을 받을 수 있다.

반응형
2급 정교사 자격증

교원 자격증 중에서 가장 많이 발급되는 자격증으로, 2급을 먼저 발급받고 일정한 자격을 갖추면 1급 자격증을 발급 받을 수 있다. 유치원, 초등학교 정교사 자격증은 1급과 2급으로만 구별되어 있고 중등학교 정교사 자격증은 1급과 2급 구분 외에도 가르칠 수 있는 교과의 영역을 나타내는 '표시 과목'이 기재되어 있다.

 


사범대학의 본래 의미는 교원을 양성하는 곳 일체를 아우르지만, 대한민국에서는 거의 중.고등학교 교원을 양성하는 곳으로 한정되어 있다. 국내에서 초등 교원을 양성하는 곳은 교육대학교(교대: 서울교대, 춘천교대, 인천교대 등)라고 지칭된다. 단,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만은 현재의 교육대학 체제가 만들어지기 전인 50년대부터 존속했기 때문에 예외를 인정받아 사범대학에서 초등교사도 양성 중이며, 그 외에 교원양성 종합대학으로 설립된 한국교원대학교에도 초등교육과가 존재한다.

 

한국교원대학교
 
대한민국의 유일한 국립 종합교원양성대학
교육부장관의 관할 아래 특수학교·유치원·초등·중등 각급 학교의 교원을 양성하고 교원의 재교육을 담당하며 교육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등 교원양성, 교원연수, 교육연구의 3대 기능을 맡고 있다.

 


교육을 학문의 대상으로 다루는 교육학과와 교육공학과를 제외하면, 학문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특수 목적 인재를 양성하는 곳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학과 이름 뒤로 학이 붙지 않는다. 이를테면 국어교육학과가 아니라 국어교육과인 것이다. 그러나 사대로 정식 인가가 되지 않은 일반대학 교육과에서는 학을 붙이기도 한다.

사범대학 및 교육대학을 교육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하는 방안이 논의 중이었으나 2023년 4월 그 시행이 무기한 연기되었다.


인서울 사범대 리스트 

설립별 이름 위치
국립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관악구 신림동
사립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광진구 화양동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성북구 안암동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중구 필동3가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종로구 홍지동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종로구 혜화동
성신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성북구 돈암동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서대문구 대현동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동작구 흑석동
한국외국어대학교 사범대학 동대문구 이문동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성동구 행당동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마포구 상수동 

 


국내 사범대학교 순위 

반응형
순위 대학
1 서울대학교
2 고려대학교
3 한양대학교
4 성균관대학교
5 중앙대학교
6 이화여자대학교
7 한국교원대학교
8 경북대학교
9 한국외국어대학교
10 건국대학교
11 부산대학교
12 동국대학교
13 홍익대학교
14 전남대학교
15 공주대학교
16 충남대학교
17 전북대학교
18 성신여자대학교
19 충북대학교
20 경상대학교
21 강원대학교
22 단국대학교
23 전남대학교
24 인하대학교
25 경상대학교
26 계명대학교
27 상명대학교
28 조선대학교
29 안동대학교
30 원광대학교

사범대학교 졸업 후 진로 


교사

졸업시 학사학위와 함께 교원 자격증이 주어지는데 이를 취득하면 중고등학교에서 기간제 교사로 취직하거나, 사립학교 정규교사 채용원서를 낼 수 있으며, 공립학교 정규교사를 선발하는 중등교원임용경쟁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단, 해당 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선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이상 취득이 필요하다.

 

중등교원임용경쟁시험
국·공립학교 중고등학교 (특수)교사를 선발·임용하기 위한 시험으로, 정식 명칭은 공립(국립, 사립) 중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중등교사 임용시험 선발인원
2020학년도 : 4,282명
2021학년도 : 4,433명
2022학년도 : 4,472명
2023학년도 : 4,898명
2024학년도 : 4,518명



교직을 시작할 때의 기본 호봉은 9호봉이며, 만약 군복무를 마친 경우 복무 연수에 따라서 추가하고, 교육대학원을 수료한 경우 2호봉을 추가한다. 여기에 특수교육 전공이면 1호봉이 추가된다. 비사대 교직과정 출신은 8호봉부터 시작한다.

그 외


사범대학 출신들은 임용고시를 선택지에서 제외 시 전공을 살릴 수 있는 진로의 폭이 그리 넓지는 않다. 교사가 되지 않고도 전공을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는 교육학 연구원, 교대 및 사범대 교수, 학원 강사 등 사교육 업계 진출, 대학원 진학, 그리고 교육행정직 공무원 시험 및 행정고시 등이 있다.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376

 

2025 교육대학교 정보 (교대 특징, 순위, 경쟁률, 등록금, 입학정원 등)

교육대학교(교대)란? -교육대학, 줄여서 교대는 초등교사를 양성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목적 대학교이다. -교육대학의 졸업생에게는 초등 2급 정교사 자격증을 수여하고(1급을 바로 따는 방법은

gaemimango1225.tistory.com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368

 

서울 소재 여자 대학 목록 (이화여대, 동덕여대, 서울여대, 성신여대 외)

4년제 종합대학 (6개)교명캠퍼스주소설립유형학교유형비고덕성여자대학교쌍문캠퍼스서울시 도봉구사립4년제 종합대학 종로캠퍼스 서울시 종로구 이원화캠퍼스 동덕여자대학교월곡캠퍼스서

gaemimango1225.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서울 소재 사립초 리스트 

청별 행정구청 사립초 수 사립초 명
동부 (4) 동대문구
중랑구
3
1
경희초, 서울삼육초, 은석초
금성초
서부 (8) 마포구
서대문구
은평구
1
4
4
홍대부초
경기초, 명지초, 추계초, 이대부초
선일초, 예일초, 충암초, 
남부(1)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0
1
0
동광초
북부(6) 노원구
도봉구
4
2
상명초, 청원초, 태강삼육초, 화랑초
동북초, 한신초
중부(6) 종로구
중구
용산구
2
3
1
상명사대부초, 운현초
동산초, 리라초, 숭의초
신광초
강동송파
(0)
강동구
송파구
0
0
 
강서(1) 강서구
양천구
1
0
유석초

강남(1) 강남구
서초구
0
1

계성초
동작관악(1) 관악구
동작구
0
1

중대부초
성동광진(4) 광진구
성동구
3
1
경복초, 성동초, 세종초
한양초
성북(6) 강북구
성북구
1
5
영훈초
광운초, 대광초, 매원초, 성신초, 우촌
반응형

 
서울에는 38개의 사립초가 있다. 한강 이남과 이북으로 분리 시 한강 이남에 4개, 한강 이북에 34개가 있다. 학급수는 669개, 학생수는 21,560명이다(2022년 기준). 평균적으로 학교 당 20.5개의 학급에 568명의 학생이 있으며, 학급당 학생수는 평균 28명이다. 
 
 


사립초 연간 학비

- 학교에 따라 조금씩 다르나 대략 1,000만원이며 입학금은 100만원 전후로 형성된다.
- 학비와 수업료 외에 방과후수업, 스쿨버스비, 현장학습비 등의 비용이 추가되기도 한다. 
- 서울시 기준으로 사립초 학비 순위는 평균 225만원이며 이중 1위는 우촌초등학교(251만원)이다. 
- 입학금(1회): 1,000,000원 (모든 사립초 동일)
- 수업료(1분기당): 1,800,000원 ~ 2,400,000원 (학교마다 다름)
 
[서울사립초 학비 순위]

순위 교명 연간 학비
1 경복초 1,275만원
2 한양초 1,249만원
3 우촌초 1,249만원
4 영훈초 1,172만원
5 세종초 1,103만원
6 예일초 1,070만원
7 유석초 1,053만원
8 매원초 1,044만원
9 경기초 1,043만원
10 홍대부속초 1,040만원

사립초 입학전형 추첨 방식 

반응형
2020학년도까지 - 대면지원
- 학교 방문 및 현장(대면)
2021~2023학년도 - 비대면지원
- 지원횟수 제한없음 (코로나 19영향)
2024학년도 - 비대면지원
 - 최대3지망 선택
- 남자 추첨 후 여자 추첨 
- 실시간 비대면 공개 추첨으로 실시간 중계됨 
- 추첨 종료 후 학교 홈페이지에 공개 
- 당첨자는 타 학교와 이중등록 불가이며 이중등록 시 모든 학교 입학 취소 

사립초 경쟁률 

2024년 서울 사립초등학교 입학 경쟁률은 7.8:1로 집계되었다. 교육청과 학교에서 경쟁률 자료를 발표하고 있지 않으나, 한 기사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최고 경쟁률 학교는 광진구에 소재하는 학교로 56명을 모집하는 데 1,609명이 몰렸다고 한다 . 

연도 경쟁률
2021년 6.8:1
2022년 12:1
2023년 12.6:1 

 


자녀를 사립초에 보내는 이유에 대한 설문 결과 

순위 이유 (2개까지 복수 응답) 응답수 (비율)
1 우수한 교육과정 (방과후 프로그램 포함) 2546명 (45.58%)
2 안전하고 좋은 교육시설 1754명 (31.40%)
3 교사의 자질 770 (13.78%)
4 구조적 돌봄 체계 38명 (6.84%)
기타 -다양한 경험 할 수 있음(기독교, 교육, 영어, 예술 등)
-학교와 학부모 간 활발한 소통
134명 (2.40%)

 


사립초와 공립초의 차이 

  사립초 공립초
학비 평균 월 100만원  무상교육
영어교육 방과후 희망자만
5교시 영어교육
1,2학년 영어선행교육불가로 사교육 이용
교사비율 교사 1명당 학생 17명 교사 1명당 학생 35명
교사자질 영어원어민교사/예체능전문교사  
특별활동 다양한 예체능 특별활동 전문적 예체능 교육은 사교육 이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316

 

국내 소재 국제학교의 종류 및 외국인학교와의 차이

대한민국에는 다양한 국제학교가 위치해 있습니다.  다국적 학생들과 교사들이 소속되는 국제교육기관으로 해외 국가에 거주하는 주재원의 외국인 자녀들이나 표준화된 국제교육 커리큘럼을

gaemimango1225.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교육대학교(교대)란? 

-교육대학, 줄여서 교대는 초등교사를 양성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목적 대학교이다.
-교육대학의 졸업생에게는 초등 2급 정교사 자격증을 수여하고(1급을 바로 따는 방법은 없고 3년 경력을 쌓고 방학 때 연수를 갔다 오면 1급으로 경신된다), 초등교원임용경쟁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교육대학교(교대)의 특징

초등교원 양  교육대학 졸업자는 초등학교 교사로만 임용 가능하며, 사범대학 출신은 초등교사가 될 수 없다. 2000년대 초반 교사 수급 문제로 일부 중등교사 자격증 소지자가 한시적으로 초등학교 교사로 임용된 바 있다.
심화과정  교육대학의 모든 학과는 초등교육과로, 다양한 과목(국어, 영어, 수학 등)의 심화과정을 선택할 수 있다. 심화과정은 대학원 진학 시 유용할 수 있다.
교육대학 총장과 사무국장 예우 모든 교육대학교 총장은 차관급 예우를 받는다. 유일한 종합교원양성대학인 한국교원대학교 총장은 장관급 예우를 받는다.
설립 형태  교육대학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하는 국립기관이며, 사립 교육대학은 존재하지 않는다. 단, 사립 종합대학에 초등교육과를 둘 수 있다.
계절제  방학 중 2년제 대학 출신 현직 교사들이 추가 교육과정을 이수하여 학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계절제가 있었으나 현재는 사라졌다.
엄격한 평가제도 초등교원임용시험 이후 교육대학은 상대평가로 운영되며, 철저한 학점 비율 제한(A 30% 이하 등)이 적용된다.
시간표 고정  대부분의 전공 과목은 시간표가 고정되어 있으며, 자율적인 시간표 편성이 어렵다.
여학생 비율 여학생이 남학생 비율보다 높다 
부설초등학교 모든 교육대학은 부설초등학교를 운영하며, 국립학교로 신입생을 신청 및 추첨으로 선발하고 무상교육을 제공해 학부모에게 인기가 많다.

교육대학교(교대) 등록금 

국내 교육대학교의 연간 등록금은 약 300만 원에서 400만 원 사이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서울교육대학교의 연간 등록금은 약 308만 8천 원이다. 다른 교육대학교들도 이와 유사한 수준의 등록금을 유지하고 있으며, 국공립 대학으로서의 특성상 사립 대학에 비해 등록금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과거에 교육대학교(교대)였던 곳 

군산교육대학교 → 전주교대로 통합(부설학교 동반 이관됨), 현 국립군산대학교 
강릉교육대학교 → 춘천교대로 통합, 현 국립강릉원주대학교 
마산교육대학교 → 진주교대로 통합, 현 국립창원대학교 
목포교육대학교 → 광주교대로 통합(부설학교 동반 이관됨), 현 국립목포대학교 
안동교육대학교 → 대구교대로 통합(부설학교 동반 이관됨), 현 국립안동대학교
제주교육대학교 → 2008년 제주대학교와 통합. 현 제주대학교 
초등교육과 부산교육대학교 → 2023년 부산대학교와의 통합 확정. 이르면 2025년 통합 신입생 선발 예정 
춘천교육대학교 → 2024년 강원대학교, 강원도립대학교와의 통합 추진 중


전국 교육대학교(교대) 현황 (+2025년 입학정원)

반응형
설립 구분 구분 지역 2025년 입학정원
국립 교원대 한국교원대학교 충북 98
교육대학 경인교육대학교 인천, 경기 526
공주교육대학교 충남 312
광주교육대학교 광주 287
대구교육대학교 대구 337
부산교육대학교 부산 313
서울교육대학교 서울 312
전주교육대학교 전북 251
진주교육대학교 경남 281
청주교육대학교 충북 252
춘천교육대학교 강원 282
  제주대학교 제주 100
사립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39

 
전국에는 국립 교육대학이 10개, 국립 종합대학 내 초등교육과가 2개, 그리고 이화여자대학교 초등교육과(사립)까지 합쳐 총 13개 교육대학이 있다. 


2024년 교육대학교(교대)정시 일반전형 경쟁률 

반응형
대학명 최초모집인원 수시이월인원 최종모집인원 경쟁률 충원율
한국교원대 45 1 46 5.76 93.5
경인교대 235 105 340 3.68 36.5
공주교대 149 30 179 2.94 12.8
광주교대 108 1 109 2.71 46.8
대구교대 170 9 179 3.51 24.0
부산교대 158 2 160 3.13 31.3
서울교대 202 122 324 3.23 19.1
전주교대 181 69 250 3.11 22.0
진주교대 140 127 267 2.90 12.7
청주교대 124 23 147 3.41 12.9
춘천교대 130 46 176 3.65 미공개
이화여대 16 0 16 4.38 미공개
제주대 41 15 56 2.95 미공개

2025년 교육대학교(교대) 정시 모집 정보

면접 실시: 공주교대, 대구교대, 부산교대, 서울교대, 전주교대, 진주교대, 청주교대
수(미/기)가산: 경인교대, 진주교대, 제주대, 한국교원대
과탐2과목 가산: 제주대 
반응형

2025학년도 교대 정시모집에서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이화여대 초등교육과의 모집군 이동(나군에서 가군)이다. 본래 이화여대는 2021학년도까지 한국교원대와 함께 가군에서 초등교육과를 선발하였으나, 2022학년도부터 나군으로 이동하여 모집을 실시해 왔다. 올해 이화여대가 다시 가군으로 이동함에 따라 교대 정시는 2021학년도 이전과 동일하게 가군에 2개 대학, 나군에 11개 대학이 분포하게 되었다. 이화여대의 군 이동으로 인해 기존 가군 모집단위인 한국교원대(초등교육)는 경쟁률 및 충원율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춘천교대] 정시 지역인재전형 폐지
전체 교대 중 유일하게 정시 지역인재전형(강원교육인재)을 실시했던 춘천교대는 올해부터 해당 전형을 폐지하고, 수시 지역인재전형에서 이월이 발생할 경우에만 정시 지역인재 선발을 실시한다.
 
[경인교대/서울교대/청주교대/춘천교대] 정시 전형방법 변경 및 수능 최저학력기준 설정
경인교대는 지난해까지 정시에서 단계별 선발을 실시하여 2단계에서 면접을 반영했으나, 올해부터는 수능 100% 일괄 선발로 변경하여 더 이상 면접을 실시하지 않는다. 서울교대와 마찬가지로 영어와 한국사에 한해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설정하여 영어는 3등급 이내, 한국사는 4등급 이내를 충족해야 한다.
청주교대는 기존 단계별 선발을 일괄 선발로 변경하되, 면접을 유지하여 수능 90.9%와 면접 9.1%의 반영비율을 적용한다.
서울교대는 정시 1단계 선발 배수를 기존 2배수에서 1.5배수로 조정한다.
춘천교대는 올해부터 정시에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도입하여, 국수영탐(2과목 평균) 4개 합 16 이내를 충족해야 한다.


2025년 교육대학교(교대) 수시 학생부 교과전형 

학교장 추천: 경인교대, 서울교대, 이화여대
면접 실시: 경인교대(비대면), 서울교대, 이화여대
3-2학기까지 교과반영: 경인교대, 제주대, 한국교원대

 
2025학년도에는 5개 교대에서 전년도보다 124명 감소한 229명을 선발한다. 교대 학생부교과전형은 실시 대학이 적고 모집인원도 많지 않다. 서울교대는 졸업생의 지원이 불가능하며, 경인교대와 이화여대는 학교장 추천이 필요하다. 교과 외에도 면접이 반영되므로 별도의 대비가 요구된다. 이화여대를 제외한 4개 대학 모두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만, 일부를 제외하면 기준은 높지 않은 편이다.
 
[경인교대]
전년도에 학생부교과전형(학교장추천)을 신설했던 경인교대는 올해 모집 규모를 크게 축소하고, 전형방법을 기존 단계별 선발에서 ‘교과 70%+면접 30%’의 일괄 선발로 변경한다. 수능 최저학력기준도 ‘3개 합 11’에서 ‘12’로 완화한다.
 
[이화여대]
‘고교추천’ 전형방법을 일괄 선발에서 단계별 선발로 변경하고, 고교별 추천인원은 5%(최대 10명)에서 20명으로 확대한다.
 
[서울교대]
‘학교장추천’ 전형에서 적용하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4개 합 9’에서 ‘4개 합 10’으로 완화하여 수험생의 부담을 줄인다.


반응형

2025년 교육대학교(교대) 수시 학생부 종합전형 

1. 교대 학생부종합전형은 2025학년도에 총 1,906명을 선발한다. 이 중 일반전형은 834명, 지역인재전형은 964명이다. 특히 경인교대의 모집인원 증가가 두드러지며, 학생부교과전형 인원의 절반을 학생부종합(교직적성)으로 옮겨 선발한다.
 
2. 교대는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지역인재 규모가 큰 것이 특징이며, 올해는 전년도보다 51명이 증가하였다. 대구교대는 2025학년도부터 지역인재전형을 대구지역인재(80명)와 경북지역인재(100명)로 세분화하여 선발한다.
 
3. 올해는 대부분 전년도와 유사한 전형 기조를 유지하면서 일부 교대가 수능 최저학력기준 및 1단계 선발배수를 조정하였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완화한 대학으로는 서울교대 교직인성우수자(4개 합 9→10), 춘천교대 강원교육인재(4개 합 12→14), 전주교대(4개 합 12→15)가 있다. 전주교대는 교직적성우수자의 1단계 선발배수를 2→3배수로, 대구교대(참스승)는 3→5배수로 확대하였다.
 
4. 교대 학생부종합전형의 핵심은 면접이다. 진주교대, 춘천교대, 이화여대를 제외한 모든 대학이 면접평가를 실시한다. 경인교대는 별도의 대면면접 없이 사전 안내된 제시문에 대한 답변 영상을 녹화해 제출해야 한다. 교대 면접은 대부분 교직인·적성면접에 해당하며, 대학마다 면접 유형과 방식이 다르므로 유의해야 한다.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358

 

서울 소재 대학교 총 정리 (소재지, 설립 유형, 1학기 학비)

일반대학교명캠퍼스소재지설립유형비고 등록금/1학기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성의교정서울특별시 종로구사립경기도 소재, 이원화 캠퍼스436만강서대학교  서울특별시 강서구 사립舊 그리스

gaemimango1225.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토익시험 입실시간

-시험시간이 오전일 경우 AM 9:20 까지 입실(AM 9:50 이후 절대 입실 불가)

-시험시간이 오후일 경우 PM 2:20 까지 입실(PM 2:50 이후 절대 입실 불가)

※ 교내 주차 불가

 

토익시험 준비물

-규정 신분증, 연필 (볼펜 및 사인펜은 사용 불가), 지우개, 아날로그 손목시계 (전자식 시계 불가)

※ 고사장 내 시계 준비 여부는 학교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토익시험 응시료

-52,500원 

(할인방법: 카드 할인, 대학생 토익 할인, 군인 토익 할인)

 

답안기재요령

 

토익 시험 시간 

구분 소요 시간 
듣기 평가(Part 1,2,3,4) 약 45분
읽기 평가(Part 5,6,7) 75분
총 소요시간 약 2시간 

 

규정 신분증

-대학생/일반인: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모바일운전면허증, 기간 만료 전 여권, 공무원증, 모바일 공무원증, 장애인복지카드, 국가보훈등록증,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

-초등학생: 기간 만료 전 여권, 주민등록등본/초본, 건강보험증, 청소년증

-중학생/고등학생: 학생증, 기간 만료 전 여권, 청소년증

-군인: 공무원증, 사병, 사관생도신분증

-외국인: 외국인등록증, 기간 만료 전 여권, 외국국적동포 국내거소신고증, 영주증

-재외국민: 재외국민 주민등록증, 기간 만료 전 여권

 

2025년 토익 시험 일정 

 

시험 접수 취소 신청 기간 

시험일 인터넷 취소 우편 취소 방문 취소
토요일 인터넷 접수일 ~ 시험 시행 1일 전 (금요일 자정) 인터넷 접수일 ~ 시험 시행 1일전 (금요일)
우체국 소인까지 유효
인터넷 접수일 ~ 시험 시행 1일전 (금요일 오후 5시)
일요일 인터넷 접수일 ~ 시험 시행 1일전 (토요일 자정) 인터넷 접수일 ~ 시험 시행 1일전 (토요일)
우체국 소인까지 유효
인터넷 접수일 ~ 시험 시행 2일전 (금요일 오후 5시)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311

 

공인 영어 시험의 종류, 유형, 응시료, 점수 (토익, 토플, 지텔프, 텝스, 아이엘츠, 오픽, 토익 스

토익 (TOEIC): 목적: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영어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유형: 주로 리스닝과 리딩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리스닝은 각종 회

gaemimango1225.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학교명 캠퍼스명 구분 소재지
건국대 건국대 글로컬 분교 충청북도 충주
경희대 제2캠퍼스 경기도 용인
고려대 고려대 세종 분교 충청남도 세종
동국대 동국대 WISE 분교 경상북도 경주
단국대 제2캠퍼스 충청남도 천안
명지대 제2캠퍼스 경기도 용인
상명대 제2캠퍼스 충청남도 천안
연세대 연세대 미래 분교 강원도 원주
중앙대 제2캠퍼스 경기도 안성
한국외대 제2캠퍼스 경기도 용인
한양대 한양대 에리카 분교 경기도 안산
홍익대 제2캠퍼스 충청남도 세종

 

분교가 있는 국내 대학교

반응형

건국대(건국대 글로컬캠퍼스)

-충청북도 충주시 소재 사립대학으로서 광진구에 위치한 서울캠퍼스와 고유하고 독립적인 캠퍼스로 운영

-분교명 변경 현황: 충추대학(1980) -> 충주캠퍼스 -> 글로컬캠퍼스(2011) 

 

고려대(고려대 세종캠퍼스)

-세종특별자치시(조치원읍의 본 캠퍼스,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세종 공동캠퍼스로 구분되며, 세종 공동캠퍼스에는 2026년에 행정전문대학원 및 AI/ICT 관련 전공이 입주할 예정), 청주시(오송읍 오송생명과학산업단지 내 의생명공학연구원)에 위치한 고려대학교의 분교

-분교명 변경 현황: 조치원분교(1980) -> 조치원캠퍼스(1982) -> 서창캠퍼스(1987) -> 세종캠퍼스(2008)

 

동국대(동국대 WISE캠퍼스)

-경상북도 경주시 석장동에 있는 동국대학교의 분교.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의 부지는 불교 신자였던 육영수 여사가 조계종에 시주한 땅이라는 소문이 불교계 내에 널리 알려져 있음

-학교법인이 통합되어 있는 여러 대학의 분교 중에서는 서울 본교의 관리를 벗어나 매우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학 중 하나

-본교에는 없는 의과대학과 한의과대학, 간호대학을 동시에 운영

-경주에 세워진 최초의 4년제 종합대학

-분교명 변경 현황: 경주분교(1978) -> 경주대학(1979) -> 경주캠퍼스(1984) -> WISE캠퍼스(2022) 

 

연세대(연세대 미래캠퍼스)

-연세대학교의 분교로 1978년에 설립되었으며, 원주시 흥업면 매지리의 매지캠퍼스와 일산동의 일산캠퍼스로 이루어짐

-분교명 변경 현황: 의과대학 원주분교(1978) -> 원주대학(1981) -> 원주캠퍼스(2000) -> 미래캠퍼스 (2019)

 

한양대(한양대 에리카캠퍼스)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소재한 한양대학교의 분교이며, 수도권대학으로 분류

-교명의 ERICA를 그대로 읽어 통칭 한양대 에리카

-경기도 안산시의 유일한 4년제 종합대학

-대학원과 연구실은 서울캠퍼스와 이원화로 운영

-분교명 변경 현황: 반월분교(1979) -> 반월캠퍼스 (1983) -> 안산캠퍼스 (1987) -> 에리카캠퍼스(2009)


 

분교 제도의 역사

반응형

 

정책 배경

-1970~80년대 정부는 서울의 과밀화를 해소하기 위해 수도권 인구분산 정책을 시행했다.

-처음의 방침은 서울에 있는 대학들을 지방으로 완전히 이전하려 했으나, 대학들의 강한 반발로 인해 지방에 별도의 분교를 설립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대학교 분교 설립

-건국대학교, 경희대학교, 고려대학교, 단국대학교, 동국대학교, 연세대학교, 중앙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한양대학교 등이 서울을 제외한 타 지역에 캠퍼스를 설립했다.

-대부분 본교와 중복학과로 운영되었으며, 몇몇 대학은 특정 학과만을 이전했다.

예: 중앙대학교는 농과대학과 예술대학을 서울에서 안성으로, 경희대학교는 공과대학과 체육대학 등을 서울에서 용인으로 이전했다.

연세대학교는 의과대학의 분교로서 원주에 의학과, 보건학과를 설립했다.

 

분교와 제2캠퍼스의 구분:

-초기에는 분교와 제2캠퍼스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았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구분을 명확하게 따지기 시작했다.

-2000년대 분교 논란이 불거지며 2010년 이명박 정부 시기에 교육부 정책이 변경되었다.

-일부 분교는 법적, 행정적으로 본교로 전환되어 이원화 캠퍼스가 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제2캠퍼스와 분교의 차이 

반응형

 

행정적 독립성

-제2캠퍼스는 본교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대체로 행정적으로 본교에 종속된다. 즉, 제2캠퍼스는 본교의 행정 체계를 따르며, 본교의 일부로 간주된다.

-분교는 본교로부터 더 독립적인 운영을 하며, 종종 자체적인 행정 체계와 정책을 가질 수 있다. 분교는 지리적으로 본교와 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행정적으로도 자율성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지리적 위치와 목적

-제2캠퍼스는 주로 학교의 공간적 확장이나 특정 학문 분야의 강화를 목적으로 설립되며, 대도시 또는 학교가 위치한 같은 지역 내에 설립될 수 있다.

-분교는 본교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다른 지역에 위치하여, 그 지역의 교육 접근성을 높이거나 특정 지역적 필요에 부응하기 위해 설립된다.

 

교육 및 연구의 독립성

-제2캠퍼스는 본교의 학문적 방향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종종 본교의 프로그램이 확장된 형태로 운영된다.

-분교는 자체적인 학문적 특성을 개발할 수 있으며, 종종 그 지역의 특수한 요구에 맞춘 전공이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입학 기준과 성적

-제2캠퍼스는 본교와 동일하거나 약간 변형된 입학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제2캠퍼스가 본교의 학문적 표준과 교육 품질을 유지하려는 목적을 반영한다.

-분교는 본교와 다른 입학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지리적 위치나 해당 지역의 교육 수요를 고려하여 입학 기준이 조정될 수 있으며, 때로는 본교보다 다소 완화된 기준을 적용하기도 한다.

 

학점 관리와 평가

-제2캠퍼스는 본교의 학점 시스템을 그대로 따르는 경우가 많아, 학생들의 성적 평가 방식이 본교와 일치한다.

-분교는 자체적인 평가 기준과 학점 관리 시스템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는 분교가 특정 학문 분야나 지역적 특성에 맞춘 독립적인 교육 과정을 운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졸업 요건:

-제2캠퍼스의 졸업 요건은 일반적으로 본교와 같거나 매우 유사히다. 이는 제2캠퍼스 학생들이 본교와 동일한 수준의 학력을 갖추었음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분교는 독립적인 졸업 요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그 지역의 산업 수요나 특정 전문 분야에 맞춰진 교육 과정에 기반할 수 있다.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358

 

서울 소재 대학교 총 정리 (소재지, 설립 유형, 1학기 학비)

일반대학교명캠퍼스소재지설립유형비고 등록금/1학기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성의교정서울특별시 종로구사립경기도 소재, 이원화 캠퍼스436만강서대학교  서울특별시 강서구 사립舊 그리스

gaemimango1225.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2024년 기준으로 설립 유형별 평균 등록금을 보면 사립은 762만9천원, 국공립은 421만1천400원이다.

 

소재지별로는 수도권 대학이 평균 768만6천800원, 비수도권은 627만4천600원이다. 사립대학끼리 비교하면, 이웃나라 일본의 사립대학보다 약 2~3배 저렴한 등록금이다. 국가장학금까지 고려하면 일반적으로 일본보다 4~6배 이상 저렴하다고 볼 수 있겠다.

 

계열별로는 보통 인문계보다 자연계가 높으며, 특히 자연계 안에서도 실험이나 실습에 비용의 소모가 큰 의학계열은 등록금이 독보적이다. 그 외에도 실습/기자재 비중이 큰 공과대학이나 예체능 계열 또한 의대만큼은 못하지만 등록금이 꽤 비싼 편이다.

 

반면에, 등록금이 없거나 태블릿 PC 값 정도인 곳도 있다. 등록금이 없는 대학으로는 경찰대학이나 사관학교를 그 예로 들 수 있는데, 일반대가 아닌 특수한 목적을 위해 설치된 국공립 특수대이기 때문이다. 또한 평균 등록금이 30만 원대 정도인 곳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가 있다.

 

서울 소재 대학교 등록금 리스트

반응형
구분 평균등록금(원) 
최소 0
최대 9,238,688
평균 4,466,853.5
표준편차 2,557,450.2
감리교신학대학교 6,640,506.1
강서대학교 7,513,140.7
건국대학교 8,322,289.6
경희대학교 7,996,050.9
경희사이버대학 2,775,652.1
고려대학교 8,347,838.4
고려사이버대학교 2,467,277.3
광운대학교 7,904,684.5
국민대학교 7,980,541.5
덕성여자대학교 7,215,050
동국대학교 8,043,020.2
동덕여자대학교 7,476,102.2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2,899,204.8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2,773,110.6
삼육대학교 7,858,133.2
상명대학교 7,965,073.8
서강대학교 8,008,446.4
서경대학교 7,987,965.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5,474,961.6
서울교육대학교 3,088,000
서울기독대학교 7,548,316.1
서울대학교 6,034,163.1
서울디지털대학교 2,268,363.7
서울사이버대학교 2,711,121.9
서울시립대학교 2,398,023.1
서울여자대학교 7,613,173.3
서울한영대학교 7,064,500
성공회대학교 7,089,424.6
성균관대학교 8,449,507.4
성신여자대학교 7,972,741.8
세종대학교 7,964,402.9
세종사이버대학교 2,896,955
숙명여자대학교 8,146,079.6
숭실대학교 7,978,641.9
숭실사이버대학교 2,772,244.9
연세대학교 9,194,639.8
이화여자대학교 8,745,945.6
장로회신대학교 6,958,333.3
정석대학 0
중앙대학교 8,177,590.7
총신대학교 7,330,836.3
추계예술대학교 (최대 등록금) 9,238,688
태재대학교 (최소 등록금) 0
한국방송통신대학교 760,971.2
한국성서대학교 7,111,109.8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2,247,866.6
한국예술종합학교 4,806,454.7
한국외국어대학교 7,206,969
한국체육대학교 3,860,074.7
한성대학교 7,781,626.6
한양대학교 8,564,320.6
한양사이버대학교 2,802,387.6
홍익대학교 8,436,028.1

 

*  자료기준일: 2024년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359

 

국내 국공립대학교 총 정리 (소재지, 1학기 학비, 국공립의 차이, 국공립대학교의 장단점)

국내 국공립대학교 리스트 (소재지, 1학기 평균 등록금 정보 포함) 대학명소재지1학기 평균 등록금 (원)서울대학교 (국립) 서울특별시 3,005,860 서울시립대학교 (공립)서울특별시 1,198,000 서울교육

gaemimango1225.tistory.com


서울 소재 대학 1인당 교육비

반응형

전국 4년제 일반대와 교육대를 통틀어 학생 1인당 교육(투자)비가 가장 많은 곳은 서울대이다. 이로 인해, 고등교육 재정이 부족한 상황에서 대학 서열에 따라 재정 투입의 불균형이 나타난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하였다.국공립대 중에선 2위인 전남대(2천412만원)와의 차이는 2.4배 정도 벌어졌다. 전체 일반/교육대 평균은 1천851만원이었다. 

 

1인당 교육비 

대학이 대학원생을 포함한 재학생의 교육을 위해 투자한 총액을 학생 수로 나눈 것으로, 교육여건을 나타내는 지표

 

국내 국공립대학교의 1인당 교육비

구분 학생 1인당 교육비(국공립) (원)
최소 1,224,064.6
최대 20,464,216.2
평균 5,558,337.3
표준편 8,179,439.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464,216.2
서울교육대학교 14,243,239.8
서울시립대학교 20,126,574.7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224,064.6
한국체육대학교  19,605,707.6

 

 

 

국내 사립대학교의 1인당 교육비

구분 학생 1인당 교육비(사립) (원)
최소 2,795,488.7
최대 40,836,587.8
평균 17,422,682
표준편차 8,039,677.7
감리교신학대학교 10,437,280.9
강서대학교 9,749,529.3
건국대학교 17,450,668.7
경희대학교 18,147,398.9
경희사이버대학교 3,830,711.1
고려대학교 32,638,665.7
고려사이버대학교 2,795,488.7
광운대학교 16,462,400.8
국민대학교 17,117,933.8
덕성여자대학교 13,568,127.2
동국대학교 17,969,259.3
동덕여자대학교 11,532,935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5,601,888.4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3,157,735.2
삼육대학교 14,437,005.7
상명대학교 14,282,072.9
서강대학교 20,368,067.1
서경대학교 12,790,692.4
서울기독대학교 9,605,096.7
서울디지털대학교 3,192,951.4
서울사이버대학교 3,490,822.1
서울여자대학교 13,103,502.4
서울한영대학교 9,217,668.9
성공회대학교 11,724,193.2
성균관대학교 31,546,223.9
성신여자대학교 12,810,043.1
세종대학교 17,158,174.7
세종사이버대학교 3,772,227.3
숙명여자대학교 15,948,531.2
숭실대학교 14,132,473.5
숭실사이버대학교 3,702,061.1
연세대학교 40,836,587.8
이화여자대학교 22,083,310.6
장로회신학대학교 12,110,986.2
정석대학 9,801,998.8
중앙대학교 18,108,183.1
총신대학교 12,662,830
추계예술대학교 15,155,411
태재대학교 0
한국성서대학교 14,216,972.7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7,241,128.9
한국외국어대학교 12,642,945.3
한성대학교 12,555,583.1
한양대학교 26,168,999.4
한양사이버대학교 3,415,364.7
홍익대학교  12,747,502.1

 

 *  자료기준일  : 2024년도 결산,재학생수 : 2024년도 4.1 학부+대학원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368

 

서울 소재 여자 대학 목록 (이화여대, 동덕여대, 서울여대, 성신여대 외)

4년제 종합대학 (6개)교명캠퍼스주소설립유형학교유형비고덕성여자대학교쌍문캠퍼스서울시 도봉구사립4년제 종합대학 종로캠퍼스 서울시 종로구 이원화캠퍼스 동덕여자대학교월곡캠퍼스서

gaemimango1225.tistory.com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371

 

경기도 소재 4년제 대학교 리스트 (소재지, 설립유형, 규모)

대학교학교명설립유형소재지규모비고가천대학교사립경기도 성남시2캠퍼스, 14대학, 7대학원 가톨릭대학교 사립 경기도 부천시3캠퍼스, 9대학, 14대학원 강남대학교 사립 경기도 용인시1캠

gaemimango1225.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대학교
학교명 설립유형 소재지 규모 비고
가천대학교 사립 경기도 성남시 2캠퍼스, 14대학, 7대학원  
가톨릭대학교 사립 경기도 부천시 3캠퍼스, 9대학, 14대학원  
강남대학교 사립 경기도 용인시 1캠퍼스, 5대학, 4대학원  
경기대학교 사립 경기도 수원시 2캠퍼스, 5대학, 10대학원  
경동대학교 사립 경기도 양주시 3캠퍼스, 1대학, -대학원 강원특별자치도 소재
경희대학교 사립 경기도 용인시(국제캠퍼스) 3캠퍼스, 24대학, 14대학원 서울특별시 소재
단국대학교 사립 경기도 용인시 2캠퍼스, 22대학, 12대학원  
대진대학교 사립 경기도 포천시 1캠퍼스, 6대학, 4대학원  
동국대학교 사립 경기도 고양시 2캠퍼스, 13대학, 11대학원 서울특별시 소재
동양대학교 사립 경기도 동두천시 2캠퍼스, 8대학, 3대학원 경상북도 소재
루터대학교 사립 경기도 용인시 1캠퍼스, 1대학, 1대학원  
명지대학교 사립 경기도 용인시 2캠퍼스, 10대학, 9대학원  
협성대학교 사립 경기도 화성시 1캠퍼스, 5대학, 4대학원  
서울대학교 사립 경기도 시흥시 3캠퍼스, 16대학, 11대학원 서울특별시 소재
서울신학대학교 사립 경기도 부천시 1캠퍼스, 1대학, 6대학원  
서울장신대학교 사립 경기도 광주시 1캠퍼스, 1대학, 7대학원  
성결대학교 사립 경기도 안양시 1캠퍼스, 6대학, 5대학원  
성균관대학교 사립 경기도 수원시 2캠퍼스, 16대학, 21대학원  
수원가톨릭대학교 사립 경기도 화성시 1캠퍼스, 1대학, 1대학원  
수원대학교 사립 경기도 화성시 1캠퍼스, 9대학, 13대학원  
신한대학교 사립 경기도 의정부시, 동두천시 2캠퍼스, 6대학, 2대학원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사립 경기도 양평군 1캠퍼스, 1대학, 6대학원  
아주대학교 사립 경기도 수원시 1캠퍼스, 11대학, 14대학원  
안양대학교 사립 경기도 안양시 2캠퍼스, 4대학, 5대학원  
예원예술대학교 사립 경기도 양주시 2캠퍼스, 1대학, 2대학원 전북특별자치도 소재
연세대학교 사립 경기도 고양시 2캠퍼스, 17대학, 17대학원 서울특별시 소재
용인대학교 사립 경기도 용인시 1캠퍼스, 6대학, 8대학원  
을지대학교 사립 경기도 성남시 2캠퍼스, 4대학, 3대학원 대전광역시 소재
중부대학교 사립 경기도 고양시 2캠퍼스, 1대학, 4대학원 충청남도 소재
중앙대학교 사립 경기도 안성시 2캠퍼스, 15대학, 16대학원 서울특별시 소재
중앙승가대학교 사립 경기도 포천시 1캠퍼스, 1대학, 1대학원  
차의과대학교 사립 경기도 포천시 2캠퍼스, 5대학, 9대학원  
총신대학교 사립 경기도 용인시 2캠퍼스, 1대학, 8대학원 서울특별시 소재
칼빈대학교 사립 경기도 용인시 1캠퍼스, 1대학, 2대학원  
평택대학교 사립 경기도 평택시 1캠퍼스, 4대학, 7대학원  
한경국립대학교 사립 경기도 안성시 1캠퍼스, 4대학, 4대학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사립 경기도 시흥시 1캠퍼스, 2대학, 3대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사립 경기도 용인시 2캠퍼스, 18대학, 9대학원 서울특별시 소재
한국교통대학교 사립 경기도 의왕시 3캠퍼스, 8대학, 6대학원 충청북도 소재
한국항공대학교 사립 경기도 고양시 1캠퍼스, 2대학, 2대학원  
한세대학교 사립 경기도 군포시 1캠퍼스, 1대학, 10대학원  
한신대학교 사립 경기도 오산시 2캠퍼스, 8대학, 5대학원  
한양대학교 에리카 캠퍼스 사립 경기도 안산시 1캠퍼스, 9대학, 2대학원 한양대학교 분교
협성대학교 사립 경기도 화성시 1캠퍼스, 5대학, 4대학원  
홍익대학교 사립 경기도  화성시 2캠퍼스, 11대학, 14대학원 서울특별시 소재
화성의과대학교 사립 경기도 화성시    

 

교육대학
학교명 설립유형 소재지 규모
경인교육대학교 국립 경기도 안양시 2캠퍼스, 1대학, 1대학원 교육대학, 인천광역시 소재

 

사이버대학 
학교명 설립유형 소재지 비고
국제사이버대학교 사립 경기도 수원시 학사 학위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사립 경기도 안산시 학사 학위
서울디지털대학교 사립 경기도 부천시 학사 학위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367

 

서울 소재 전문대학교 총정리 (소재지, 학과 종류, 1학기 학비, 특징)

*가나다 순*2024년 기준  동양미래대학교소재지서울 구로구 고척동  학비(1학기)3,320,000원 (공학계열), 3,030,000원 (인문사회계열), 4,490,000원 (전문기술석사과정)  (2024년 기준) 학교재단효성그룹

gaemimango1225.tistory.com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359

 

국내 국공립대학교 총 정리 (소재지, 1학기 학비, 국공립의 차이, 국공립대학교의 장단점)

국내 국공립대학교 리스트 (소재지, 1학기 평균 등록금 정보 포함) 대학명소재지1학기 평균 등록금 (원)서울대학교 (국립) 서울특별시 3,005,860 서울시립대학교 (공립)서울특별시 1,198,000 서울교육

gaemimango1225.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4년제 종합대학 (6개)
교명 캠퍼스 주소 설립유형 학교유형 비고
덕성여자대학교 쌍문캠퍼스 서울시 도봉구 사립 4년제 종합대학

종로캠퍼스 서울시 종로구 이원화캠퍼스
동덕여자대학교 월곡캠퍼스 서울시 성북구 사립 4년제 종합대학  
청담동캠퍼스 서울시 강남구 이원화캠퍼스
대학로캠퍼스 서울시 종로구 이원화캠퍼스
서울여자대학교   서울시 노원구 사립 4년제 종합대학  
성신여자대학교 수정캠퍼스 서울시 성북구 사립 4년제 종합대학  
운정그린캠퍼스 서울시 강북구 이원화캠퍼스
숙명여자대학교   서울시 용산구 사립 4년제 종합대학  
이화여자대학교   서울시 서대문구 사립 4년제 종합대학  

 

4년제 학사과정 전문대학 (1개)
교명 캠퍼스 주소 설립유형 학교유형 비고
서울여자간호대학교   서울시 서대문구 사립 4년제 학사과정 전문대학 간호학과만 있음

 

2-3년제 전문대학 (3개)
교명 캠퍼스 주소 설립유형 학교유형 비고
배화여자대학교   서울시 종로구 사립 2-3년제 전문대학  
숭의여자대학교   서울시 중구 사립 2-3년제 전문대학  
한양여자대학교   서울시 성동구 사립 2-3년제 전문대학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359

 

국내 국공립대학교 총 정리 (소재지, 1학기 학비, 국공립의 차이, 국공립대학교의 장단점)

국내 국공립대학교 리스트 (소재지, 1학기 평균 등록금 정보 포함) 대학명소재지1학기 평균 등록금 (원)서울대학교 (국립) 서울특별시 3,005,860 서울시립대학교 (공립)서울특별시 1,198,000 서울교육

gaemimango1225.tistory.com

 

덕성여대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위치한 4년제 사립 종합 여자대학교이며, 여성독립운동가가 최초로 설립한 여학교

-특히 유아교육에서 두각을 보이는 대학

-대학의 한글 약칭은 덕성여대·덕성·덕대이고, 영문 약칭은 Duksung·DSU·DSWU

반응형
동덕여대

-재단은 동덕학원으로, 산하의 교육기관은 동덕여자중학교, 동덕여자고등학교, 대전 성덕중학교(구 금성중학교),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동덕여자대학교 부속유치원이 있음

-3개의 다원화된 캠퍼스를 가지고 있으며, 최초로 캠퍼스 다원화를 시도하여 성공

-2024년 11월, 동덕여대가 남녀공학으로 전환하는 논의가 있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이에 학생들이 반발하는 사건이 발생

 

서울여대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에 위치한 4년제 사립 여자대학교. 개신교 미션스쿨이다. 학우들은 ‘슈니’(swu(슈)+언니)라고 불림 

-2016년 인서울 여자대학 중 최초로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에 선정, 관련 학과에 많은 지원을 하고 있음

-'에코캠퍼스'를 표방하고 있어서 교정을 사계절 내내 아름답게 하는 것에 만전을 기하고 있음

-정부기관에서 주관하는 대학 재정지원사업 및 평가에서 다수의 실적을 얻고 있음

 

성신여대

-1936년 경기도 경성부 경운정(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운동)에 설립한 성신여학교가 전신

-1944년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으며 1963년 대학기관으로 승격하여 성신여자실업초급대학로 개편, 1965년 성신여자사범대학으로 -개편. 1979년 성신여자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고, 1982년 종합대학으로 승격

-학사분규를 치르고 있는 대학 중 하나

 

숙명여대

-1906년에 설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민족여성사학

-국내 최초로 학생군사교육단(ROTC)이 생긴 여자대학교

-2022년에 공군학군단이 여대 최초로 창설

-의과대학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내부에서 프리메드 교육을 실시하여 의전원, 치전원, 한의전 진학 실적이 우수하며 의학 관련 연구도 상당

-학교 학풍은 소수정예를 추구하여 알차게 학생을 가르치고 성장시키는 특징이 있어 학교의 내실이 상당하다고 평가받음

 

이화여대

-한국 최초의 여학교이자 한국 최초의 종합대학

-1886년 미국인 선교사 메리 스크랜튼 여사가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에 세운 한국 최초의 여학교인 이화학당이 모체

-서울시내의 학교들 중 경희대, 연세대와 함께 가장 예쁜 캠퍼스로 꼽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숙명여자대학교와 함께 국내에서 여성학 과정이 개설된 대학 중 하나

-학내에 페미니즘 활동을 하는 단체들이 여러 단위 존재

 

서울여자간호대

-과거에는 3년제 전문대학이었으나 간호학과 일원화 정책으로 현재는 4년제

-일반대와 다르게 모집군이나 대학의 분류상으로는 여전히 전문대학이지만 다른 4년제가 된 전문대학의 간호학과와 마찬가지로 학사 -학위가 나옴

-간호학과 1개 학과로 구성

 

배화여대

-배화유치원, 배화여자중학교, 배화여자고등학교와 함께 학교법인 배화학원에 속해 있으며, 한 교정을 사용

-전문대학을 졸업한 사람이 배화여대에서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을 이수하면, 4년제 학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를 갖춤

-개신교 감리회 계열의 미션스쿨

 

숭의여대

-디자인·영상콘텐츠 특성화 대학이며 유아교육과가 유명

-개신교 장로회 계열

-숭의유치원, 숭의초등학교, 숭의여자중학교, 숭의여자고등학교와 함께 학교법인 숭의학원에 속함

 

한양여대

-한양학원 산하의 여자대학교

-전문학사 취득과정 29개 학과가 있고, 이 중 16개 학과는 4년제 학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전공심화과정을 운영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358

 

서울 소재 대학교 총 정리 (소재지, 설립 유형, 1학기 학비)

일반대학교명캠퍼스소재지설립유형비고 등록금/1학기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성의교정서울특별시 종로구사립경기도 소재, 이원화 캠퍼스436만강서대학교  서울특별시 강서구 사립舊 그리스

gaemimango1225.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가나다 순

*2024년 기준 

동양미래대학교

소재지

서울 구로구 고척동 

 

학비(1학기)

3,320,000원 (공학계열), 3,030,000원 (인문사회계열), 4,490,000원 (전문기술석사과정)  (2024년 기준)

반응형

학교재단

효성그룹 

 

학부(학과) 종류

-기계공학부: 기계공학과, 기계설계공학과

-로봇자동화공학부: 로봇공학과, 자동화공학과

-전기전자통신공학부: 전기공학과, 정보전자공학과, 반도체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소방안전관리과 

-컴퓨터공학부: 컴퓨터정보공학과, 컴퓨터소프트웨어공학과, 인공지능소프트웨어학과

-생활활경공학부: 생명화학공학과, 바이오융합공학과, 건축과실내건축디자인과, 시각디자인과, AR·VR콘텐츠디자인과

-경영학부: 경영학과, 세무회계학과, 유통마케팅학과, 호텔관광학과, 경영정보학과, 빅데이터경영과

 

학교 특징

-1978년 동양공업전문대학(동양공전, 동양공)으로 개편하였으며 2012년 동양미래대학교로 교명 변경

-2021년 전국 및 서울 최초 전문기술석사과정 시범운영 선정 및 인가

-서울권에 있는 다양한 학교 학생들과 온라인 강의를 듣기에 교수진도 학교별로 다양한 편. 한양대학교 학점교류에서 2018년부터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OCU) 학점교류로 변경되었는데 전문대중 유일하게 OCU 수강을 할수 있으며 3학점으로 인정된다. 그 외에는 타 전문대의 강의를 신청하여 들을수 있다. 

-동계, 하계를 기준으로 대학에서 모의 토익시험을 치러 학생 선발 후, 1달간 해외연수를 보낸다. 비행기 요금만 낼수 있다면 다녀올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말레이시아나 싱가포르로 가게 되며, 미국이나 다른 국가로도 갈수 있지만 비행기 요금이 너무 들어가 학생들의 선호도가 낮아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 매년 30~40명 정도를 선발하게 되며, 경쟁률이 높기 때문에 토익 성적이 높아야 합격 가능성이 높으며, 해외연수를 갈시 1달간 영어로 발표를 해야하는 만큼 경험 쌓기에는 좋다. 외국어능력강화프로그램 이수자는 모의 토익시험에 가산점이 부여된다.

-연계편입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전문대학 중 하나이다.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와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그리고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무시험 편입학 협약이 체결돼있다. 2012년부터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구 충주캠퍼스)에서도 실시한다.

-대학의 인지도 및 커리큘럼 자체는 나름 괜찮은 편이라 중견기업 및 대기업 추천채용, 산학인턴, 채용연계형 인턴 프로그램쉽 같은 기회가 꽤 있으며, 학교에서도 학생에 대한 취업 또는 그 이후에 대한 지원을 해주려고 노력하는 편


명지전문대학

반응형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가좌로

 

학비(1학기)

공학∙정보학부 예술∙건강학부 3,479,000

어문∙교육학부 경영∙사회학부 2,762,000

 

학교법인

명지학원

 

학부(학과) 종류

-공학·정보학부: 산업경영공학과, 기계공학과, 토목공학과, 지적공간정보학과,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소프트웨어콘텐츠과 (AI게임소프트웨어학과), 인터넷보안공학과 (컴퓨터보안공학과), 드론정보공학과

-경영·사회학부: 경영학과, 세무회계과, 부동산경영과, 사회복지과, 행정과, 공공행정서비스상담과 (공공행정서비스과)

-어문·교육학부: 항공서비스과, 중국어비즈니스과, 일본어과, 문예창작과, 유아교육학과, 청소년교육상담과

-예술·건강학부: 산업디자인학과, 패션·리빙디자인과, 커뮤니케이션디자인과

-공연예술학부: 클래식공연예술전공 실용음악과, 사회체육과, 연극영상학과, 뷰티매니지먼트과, 보건의료정보과

-미래융합학부: 드론공학과, 엔터융합비즈니스과, 뷰티패션융합과, 세무회계융합과, 사회서비스상담복지과, 문헌정보과

자유전공학부: 자유전공학과

 

학교 특징

-취업률은 몇몇학과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70%내외를 유지하는 편이다. 대개 공학부가 제일높은 편이며, 경영과, 세무회계과,부동산경영과 등이 취업면에서 유리

-바로 인근에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가 있음

-2022년 1명지대 총장이 명지대학교와 명지전문대학의 통합 추진을 공식적으로 천명했으며, 그동안 소문으로만 알려져 있던 통합 작업이 2022년부터 구체적으로 진행될 예정


배화여자대학교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상동 

 

학비

인문사회계열은 약 300만 원, 자연과학계열은 약 340만 원, 예체능계열은 약 360만 원

 

학교재단

학교법인 배화학원 

 

학부(학과) 종류

비즈니스영어과, 일본어과관광중국어과, 식품영양과(3년제), 조리학과(전통조리전공, 외식조리디저트전공), 한복문화콘텐츠과패션산업학과, 스마트IT과(3년제), SW보안융합학과(3년제), 경영과, 국제무역물류학과, 비서행정과, 비서전공사무행정전공(호텔관광과, 세무회계과), 유아교육과(3년제), 아동보육과, 보건의료행정학과

 

학교 특징

-개신교 감리회 계열의 미션스쿨 (모든 학생들은 매주 1회(목요일) 정해진 채플(예배)에 참석해야 함)

-배화유치원, 배화여자중학교, 배화여자고등학교와 함께 학교법인 배화학원에 속해 있으며, 한 교정을 사용

-전문대학을 졸업한 사람이 배화여대에서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을 이수하면, 4년제 학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를 갖춤 (학사학위 전공 심화과정)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358

 

서울 소재 대학교 총 정리 (소재지, 설립 유형, 1학기 학비)

일반대학교명캠퍼스소재지설립유형비고 등록금/1학기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성의교정서울특별시 종로구사립경기도 소재, 이원화 캠퍼스436만강서대학교  서울특별시 강서구 사립舊 그리스

gaemimango1225.tistory.com

 


삼육보건대학교

반응형

 

소재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휘경동 

 

학교재단

한국법인 삼육학원 

 

학부(학과) 종류

간호학부(4년제), 치위생과(3년제), 뷰티융합과(2년제), 아동보육과(2년제), 사회복지과(2년제), 의료정보과(2년제)

 

학교 특징

-한국 최초로 간호사 인턴 제도를 실시한 학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산하 학교법인 삼육학원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재단 병원으로는 삼육서울병원과 삼육부산병원, 삼육치과병원을 두고 있음

-삼육서울병원과 캠퍼스를 공유하며, 병원으로 올라가는 길목에 SDA삼육어학원 서울본원과 삼육치과병원이 위치

-서울 중심지에 있는 학교답게 간호학과의 입결은 매우 높은편


서울여자간호대학교

 

소재지

서울시 서대문구 홍제동 

 

학비

약 300만원 

 

학교재단

의담학회 

 

학부(학과) 종류

간호학과 

 

학교 특징

-과거에는 3년제 전문대학이었으나 간호학과 일원화 정책으로 현재는 4년제

-간호학과만 존재하는 단과대학인 만큼 타학과와의 분배없이 학교의 돈이 모두 재학생 간호학과학생들을 위해 투자가 되는편

-미국간호대학 간호학사를 복수학위로 따는 방향도 있고, 독일과 하와이, 플로리다로 해외연수를 가기도 함

-나이 제약없이 취업이 가능한 학과 특성상 신입생의 연령층이 매우 다양한 편

 


서일대학교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 

 

학교재단

학교법인 세방학원 

 

학부(학과) 종류

-공학계열: 전자공학과, 전기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소프트웨어공학과, 건축과, 생명화학공학과, 건설시스템공학과, 스마트자동차공학과, 산업경영학과, 디지털트윈엘리베이터학과, AI융합콘텐츠학과

-인문사회계열: 세무회계학과, 스마트경영학과, 유아교육학과, 자산법률학과, 비즈니스영어과, 비즈니스일본어과, 비즈니스중국어과, 미디어출판학과, 사회복지학과 

-자연계열: 간호학과, 식품영양학과 

-예체능계열: 영화방송공연예술학과(연기 / 연출), 패션산업학과, 생활가구디자인학과, 실내디자인학과,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레저스포츠학과, VMD전시디자인학과, 웹툰스토리텔링학과

 

학교 특징

-1974년 12월 10일 배성실업학교로 개교

-학교 뒤에 용마산이 자리잡고 있어 통학 시에 경사가 꽤 있는 편

-2025학년도부터 전문기술석사과정을 신설하여, 전문대학에서 석사학위 과정을 운영

-2022년 기준으로 자산법률학과(3년제), 패션산업학과, 간호학과, 식품영양학과, 생활가구디자인학과 등이 상위 취업률을 보임


숭의여자대학교

반응형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 

 

학비

 

학교재단

학교법인 숭의학원

 

학부(학과) 종류

-교육복지학부: 유아교육과(3년제), 아동보육과, 사회복지과 (3년제)

-사회실무학부:비서인재과, 세무회계과, 서비스경영과, 문헌정보과, 호텔관광과

-자연과학계열: 식품영양과(3년제), 보건행정과 (3년제)

-디자인학부: 패션디자인과, 주얼리디자인과, 시각디자인과, 공연예술과

-영상·연기예술학부: 연기예술과(3년제), 실용음악과, 영상제작과(3년제)

-공학계열: IT소프트웨어융합과

-전공심화과정: 유아교육학과, 아동보육학과, 식품영양학과, 호텔관광학과, 사회복지학과

 

학교 특징

-개신교 장로회 계열 (채플(예배)이 매주 1회 있)

-숭의유치원, 숭의초등학교, 숭의여자중학교, 숭의여자고등학교와 함께 학교법인 숭의학원에 속해 있음

-디자인·영상콘텐츠 특성화 대학이며 유아교육과가 유명

-2009년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와 이후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순천향대학교, 청주대학교와 연계 협약을 맺어 무시험면접전형으로 편입학 가능


인덕대학교

소재지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 

 

학교재단

학교법인 인덕학원 

 

학부(학과) 종류

-스마트ICT학부: 컴퓨터전자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기계자동차공학과, 기계공학과 

-스마트시티학부: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실내건축과, 스마트건설방재학과

-크리에이티브디자인학부: 디지털산업디자인학과, 주얼리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게임&VR콘텐츠디자인학과, 멀티미디어디자인학과, 리빙세라믹디자인학과

-방송문화컨텐츠학부: 방송영상미디어학과,방송연예과, 웹툰만화학과,방송메이크업학과, 방송헤어미용예술학과 

-글로벌비즈니스학부:스마트경영·비서학과, 관광서비스경영학과,  사회복지학과, 비즈니스영어과, 비즈니스중국어학과, 비즈니스일본어과, 세무회계학과, 글로벌항공서비스학과

 

학교 특징

-서울특별시 내에 설립한 다른 대학교에 비해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기에 응용,연계 학문에 관련된 학과가 많고 그에 대한 업무에서 실제로 활용가능한 교육이 주로 이루어짐

-같은 학교법인 산하의 학교로 인덕과학기술고등학교가 있음

-산학협력을 강화하여 현장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창업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을 제공


한양여자대학교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사근동 

 

학교재단

한양학원 

 

학부(학과) 종류

유아교육과, 비서인재과, 사회복지과, 아동보육과, 호텔관광과, 실무영어과, 실무중국어과, 실무일본어과, 항공과, 행정실무과, 글로벌서비스경영과, 세무회계과(폐과), 식품영양과, 보건행정과, 치위생과, 외식산업과, 반려동물보건과, 소프트웨어융합과, 스마트IT과, 문예창작과, 패션산업과, 니트패션디자인과, 세라믹디자인과, 산업디자인과, 시각미디어디자인과, 인테리어디자인과, 영상콘텐츠과, 실용음악과, 스포츠건강관리과

 

학교 특징

-1974년 12월 20일, 학교법인 한양학원에 의하여 여자 전문학교인 한양여자실업전문학교가 서울특별시 성동구의 한양대학교 캠퍼스 내 설립

-전문학사 취득과정 29개 학과가 있고, 이 중 16개 학과는 4년제 학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전공심화과정을 운영

-캠퍼스 동측에서 남측으로 살곶이길이 둘러싸고 있으며, 캠퍼스 서측으로 한양대학교, 사이버대학교 캠퍼스와 인접

 

https://gaemimango1225.tistory.com/359

 

국내 국공립대학교 총 정리 (소재지, 1학기 학비, 국공립의 차이, 국공립대학교의 장단점)

국내 국공립대학교 리스트 (소재지, 1학기 평균 등록금 정보 포함) 대학명소재지1학기 평균 등록금 (원)서울대학교 (국립) 서울특별시 3,005,860 서울시립대학교 (공립)서울특별시 1,198,000 서울교육

gaemimango1225.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국내 국공립대학교 리스트 (소재지, 1학기 평균 등록금 정보 포함) 

대학명 학소재지 1학기 평균 등록금 (원)
서울대학교 (국립) 서울특별시 3,005,860
서울시립대학교 (공립) 서울특별시 1,198,000
서울교육대학교 (국립) 서울특별시 1,712,000
부산대학교 부산광역시 2,232,408
경북대학교 대구광역시 2,249,921
전남대학교 광주광역시 2,083,844
충남대학교 대전광역시 2,182,484
강원대학교 강원특별자치도 2,051,464
충북대학교 충청북도 2,144,833
전북대학교 전라북도 2,215,863
경상국립대학교 경상남도 2,037,939
제주대학교  (공립) 제주특별자치도 1,988,666
한국교원대학교 충청북도 1,589,687
한국해양대학교 부산광역시 1,861,806
금오공과대학교 경상북도 1,882,819
공주대학교 충청남도 1,914,158
목포대학교 전라남도 1,943,586
순천대학교 전라남도 1,975,706
안동대학교 경상북도 1,874,464
창원대학교 경상남도 1,938,405
한밭대학교 대전광역시 2,235,5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특별시 2,732,688
인천대학교 인천광역시 2,316,060
부경대학교 부산광역시 2,017,765
강릉원주대학교 (공립) 강원특별자치도 2,126,637
군산대학교 전라북도 1,959,142
한국체육대학교 서울특별시 1,929,933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서울특별시 380,485
춘천교육대학교 (공립) 강원도 춘천시 1,656,500
공주교육대학교 (공립) 충청남도 공주시 1,712,000
대구교육대학교 (공립) 대구광역시 남구 1,712,000
부산교육대학교 (공립) 부산광역시 연제구 1,712,000
청추교육대학교 (공립) 충청북도 청주시 1,712,000
전주교육대학교 (공립) 전라북도 전주시 1,712,000
진주교육대학교 (공립) 경상남도 진주시 1,712,000
광주교육대학교 (공립) 광주광역시 북구 1,712,000

참고: 상기 등록금은 2023년 기준이며, 학과 및 계열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국립대학이란? 

반응형

-국가가 설립 및 운영을 담당하는 대학

-대한민국의 국립대학은 「고등교육법」과 「국립학교설치령」에 근거해 설립되며 대개 대한민국 교육부 관할

-개별법령으로 설립된 대학은 설립근거와 관할 부처가 다를 수 있음. 정부의 주도로 설립했더라도 특별법이나 시행령 근거가 없고 법인으로 설립된 대학이면 법적으로 사립대학이며,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고등교육기관은 공립대학이 됨


국립대학의 특징 

총장의 대우

국립대학법인이 아닌 국립대 총장들은 학교의 규모와 특성에 따라 장관급에서 1급(관리관) 수준의 예우를 받으며, 주요 국립 종합대학의 총장은 장관에 준하는 대우를 받는다. 의전서열 상으로는 서울특별시장을 제외한 광역자치단체장보다 높지만, 실질적인 권한은 장관급에 미치지 않는다.

 

과거 의전 예우

70~80년대에는 국립대 총장들이 직할시장, 도지사, 교육감보다 높은 예우를 받았으며, 차량번호에서도 우선권이 주어졌다. 당시 국립대 총장은 군사정권 하에서 군 장성 출신들이 임명되었던 영향으로 높은 영향력을 가졌었다.

 

부설학교의 위치

국립대학의 부설학교는 국립학교로 분류된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학교들(서울사대부초, 서울사대부중, 서울사대부여중, 서울사대부고)과 각 교육대학의 부설 초등학교가 이에 해당한다. 교직원들은 공무원 신분이 아니며 사학연금을 받는다.

 

입학 방식과 인기

국립대학 부설 초등학교는 공립초등학교와 달리 사립초등학교처럼 신청과 추첨을 통해 신입생을 선발하고, 대부분 교복을 착용한다. 교육 수준이 높고 학비가 없어 학부모들에게 인기가 높다.


국공립대학교의 연간/4년 총 등록금

연간 등록금: 약 4,000,000원 ~ 7,000,000원

4년 총 등록금: 약 16,000,000원 ~ 28,000,000원

이 금액 외에도 생활비, 교재비, 기타 학교 행사나 활동 비용이 추가로 들 수 있다. 생활비는 학생의 생활 방식과 거주 지역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는 월평균 1,000,000원 이상이 소요될 수 있다. 


국공립대학교의 장점 

반응형
  1. 등록금 비용: 국공립대학교는 사립대학교에 비해 등록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이는 학비 부담을 줄이고 더 많은 학생들에게 고등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한다.
  2. 정부 지원: 국공립대학교는 정부로부터 안정적인 재정 지원을 받기 때문에 다양한 학문 분야에 걸쳐 폭넓은 교육과 연구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3. 학문적 자유도: 국공립대학은 학문적 독립성과 자유를 중시하며, 연구 및 교육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환경을 제공한다.
  4. 시설과 자원: 대규모 정부 투자 덕분에 실험실, 도서관, 스포츠 시설 등의 교육 및 연구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다.
  5. 국제적 연계와 협력: 정부 지원 하에 다양한 국제 교류 프로그램 및 연구 프로젝트를 운영, 국제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6. 상대적으로 건전한 재정: 국립대는 등록금이 상대적으로 합리적이기에, 등록금이 재정 대부분을 차지하는 사립대와 다르게 국가재정 지원의 비중이 높다. 특히 등록금 + 지원금으로 귀결되는 1인당 교육비가 사립대에 비해 등록금이 절반 수준으로 낮다보니 지원을 많이 받더라도 1인당 교육비를 높이기 어려운 기현상이 발생했었다. 하지만 2020년대에는 사립대학교의 등록금이 동결되고 정부 지원도 늘지 않게 됨에 따라 1인당 교육비에 변화가 없는 반면, 국립대학은 애초부터 정부의 지원 비중이 높았던데다가 정부의 국립대 육성 정책으로 정부 지원이 늘어남에따라 현재 사립대학보다 훨씬 높은 평균 1인당 교육비를 보유하고 있다.
  7. 종교적 갈등에서 자유로움: 종립대학이나 미션스쿨에서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채플은 매번 종교의 자유 문제 때문에 논란이 되곤 한다. 중고등학교의 경우 '종교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판결이 법정에서 있었고 대학교의 경우 '본인이 선택하는 것이라 종교의 자유를 침해하였다고 할 수는 없다'는 판결이 존재하고 있으나 최근에 인권위에서 채플 수업을 강제하지 말라는 지침이 내려지는 등 채플은 여전히 논란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제도로 있다. 국립대는 특정 종교가 운영하는 대학이 아니기에 이러한 종교갈등에서 자유롭다.

국공립대학교의 단점

  1. 자원의 한계: 정부 예산의 제약으로 인해 때때로 시설 유지보수나 최신 기술 도입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2. 입학 경쟁률: 저렴한 등록금과 안정적인 교육 환경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지원하며 입학 경쟁률이 매우 높다.
  3.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 제한: 정부 방침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립대학보다는 다소 보수적인 교육 커리큘럼을 운영할 수 있다.
  4. 행정 절차의 복잡성: 공공 기관인 만큼 행정 절차가 복잡하고 느릴 수 있으며, 때로는 이러한 절차가 교육 및 연구 활동에 방해가 될 수 있다.
  5. 지역적 한계: 대부분의 국공립대학이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있어, 지역적으로 선택의 폭이 좁을 수 있다.

국립대학교와 공립대학교의 차이 

모두 공공 자금으로 운영되는 학교이지만, 자금을 조달하는 주체와 설립 목적에서 차이가 있다. 

 

국립대학교: 국립대학교는 **국가(정부)**에서 설립하고 운영하는 대학교이다. 교육부에서 예산을 지원하며, 교육 정책에 따라 교육을 제공하고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주요 목적다. 서울대학교, 부산대학교, 경북대학교 등이 대표적인 국립대학교이다. 

 

공립대학교: 공립대학교는 **지방자치단체(시·도)**에서 설립하고 운영하는 대학교이다. 지역 사회의 인재 육성과 지역 발전을 목표로 운영되며, 해당 지역의 지원을 받는다. 대표적으로 서울시립대학교와 강릉원주대학교 등이 공립대학교로 분류된다. 

요약하자면 국립대학교는 국가에서, 공립대학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주로 운영 및 지원한다는 차이가 있다. 


정부가 설립했으나 사립대학인 경우

고용노동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 ICT폴리텍대학

산업통상자원부 한국공학대학교, 경기과학기술대학교

 

반응형

+ Recent posts